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경기과고 수학 절친 3인방, 수학을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경기과학고등학교(경기과고)에서 수학을 잘하는 학생 3명을 임승현 수학 부장 교사에게 추천받았습니다. 알고 보니 수학 내신이 상위 30~50%라 기자는 매우 의아했는데요. 임 교사는 수학을 정말 좋아하는 학생들이라며, 자신을 믿어보라고 했습니다. 세 학생이 수학에 얼마나 진심인지, 임 교사 ... ...
- [메타버스 여행법] 아바타 기본편 커스텀을 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편집자 주] 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오하~! 지금까지 크루에 가입하고, 게임을 하고, 영상을 편집하는 등 제페토를 즐기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았어요. ... ...
- [퍼즐 마법학교] 콰드라 족을 피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콰드라 족은 조심해야 할걸?” 델타 마을 삼각형 마법사들이 경고한 콰드라 족은 대체 누굴까? 콰드라 족은 델타 마을 곳곳에 숨어서 오르비아 공주를 도우려는 자들을 잡아간대. 그들의 눈에 띄지 않으면서 델타 마을을 무사히 통과해야 해. “저요, 저요!” 나는 군중을 뚫고 진열대 앞으로 뛰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케일이 가르쳐준 ‘관심’의 중요성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젠장, 하필이면!” 화성에서 생활할 때에는 지구와 다르게 자원이 매우 소중하다는 것을 수시로 깨닫는다. 화성에서 물은 매우 귀한 자원이기 때문에 한 사람에게 배정되는 양이 극히 작다. 정조 과학기지에서는 샤워할 때 쓸 수 있는 물의 양이 대원 한 명당 5L다. 지구에서 샤워할 때 쓰는 물의 ... ...
- 보이스피싱, 목소리까지 훔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잠깐, 여기서 끝이 아니라고해외에선 음성복제기술을 악용해 가족, 지인의 목소리까지 따라하는 맞춤형 피싱으로 수억 원을 빼앗아 간 사건까지 있었어. 음성 딥페이크가 보이스피싱에 사용된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피해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데! 신종범죄 딥보이스 AI 등장 지난 3월 5일, 미국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에서 고기 맛이? 반전 매력의 곰보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많은 사람들이 벚꽃을 보며 설레는 4월입니다. 하지만 저는 붐비는 사람들 사이에서 땅만 헤집으며 무언가를 미친듯이 찾아 다니죠. 왜냐고요? 이 시기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버섯인 곰보버섯이 나오는 계절이거든요. 버섯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곰보버섯곰보버섯은 주로 장마철에 발생하는 일반 ... ...
- (광고) 어린이를 위한 우리 인문학 '만화 한국 신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신화’라고 하면 어떤 말이 떠오르나요? 혹시 그리스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가 먼저 생각나진 않나요?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신비롭고 재미있는 신화가 많답니다. 신화란 고대인들의 생각과 경험이 담겨 있는 이야기예요. 의 주인공은 우리가 한번쯤 들어 본 단군 신화 속 단군 ... ...
- 냠냠! 어수잼 ① 비요~! 나, 꿈속에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비요~! 나, 꿈속에서 본 멋진 나무 놀이터를 만들고 싶어. 나를 도와주지 않을래?” 비요는 흔쾌히 알겠다고 대답하고는, 스케치북에 평평한 땅과 곧게 뻗은 나무를 그렸어요. “안전한 나무 놀이터를 만들려면, 먼저 나무가 땅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해야 해. 두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이 직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언제부터 우리가 스크롤을 ‘내려’ 다음 정보를 보는 동물이었던가. 50년 전만 해도 우리는 종이를 넘겨 다음 정보를 읽었다. 그보다 5만 년 전에는 돌이나 나뭇잎 따위를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가며 정보를 얻었다. 그게 당연했다. 2023년 인류는 다시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서 정보를 얻는 ...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 세계적인 리더 수학자 양성 김영훈 소장에 따르면 ‘수학자가 수학계 리더로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리더는 본인 연구 분야에 돌파구를 계속 만들어 내며, 그 분야를 이끌어 나가는 사람을 일컫는데요. 허 교수의 연구 업적이 대부분 공동연구임에도 필즈상을 수상한 이유는 그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