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사"(으)로 총 1,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 탄생 후 38만 년,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38만 년 이전 초기우주의 모습은 추측일 뿐이다. 아직까지는 직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뱅의 문을 열다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가 보여준 결과는 놀라웠다.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는 모두 똑같은 온도였다! 각자 다른 방향에서 왔는데 어떻게 서로 짠 ...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뱅의 문을 열다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갖는 에너지 알갱이’라는 가설을 이용해 고전 전자기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던 흑체의 복사법칙을 설명해 냈다. 이를 계기로, 빛의 양자론이 정립됐다. 아인슈타인은 금속에 빛을 쪼였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빛이 입자로 행동한 결과(광양자설)라고 설명하면서, 빛이 파동성과 ... ...
- [과학뉴스] 지구가 뜨거워지면 구름이 높아진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구름의 위도가 높아지면 온실효과는 더 강해질 수 있다. 위도가 높은 곳에는 태양 복사가 적게 도달해 구름이 반사하는 에너지도 더 적기 때문이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대류권 기온이 높아져 구름의 고도가 더 높이 올라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량과 구름의 고도를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대로 스캔해 컴퓨터로 보는 것처럼, 사람의 움직임은 물론 외형까지 3D 데이터로 복사해 컴퓨터로 옮기는 작업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실제 모델과 똑같이 생긴 3D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현재 일부 게임이나 영화에서 주로 사용한다. VR 게임이 현실 같다고 느끼는 데에는 캐릭터의 영향도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싶었어요(하하).실제 동물을 찍은 영상으로 캐릭터를 만들 수는 없나요?영상을 복사, 붙여넣기해서 디지털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면 무척 편리하겠지요. 하지만 카메라 한 대로 동물의 모든 면을 동시에 찍지는 못해요. 만약 벽을 카메라로 가득 채운 방이 있어서 어느 시간에, 어느 방향으로든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방출하는 복사 압력이 평형을 이룬다. 만약 자기 질량보다 더 큰 광도를 내면 과도한 복사 압력 때문에 기체들이 흩어진다. 강착원반이 와해된다는 말이다. 이를 ‘에딩턴 한계’라고 한다. 만약 태양 질량의 수 배에 불과한 별 질량 블랙홀이 기체를 계속 흡수해 거대질량 블랙홀로 자랐다고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온 것이 확인됐다(Nature 531, 100–104 (03 March 2016)). 고세균에서 온 유전자는 DNA의 복사, 전사, 번역에 관련된 것으로,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의 조상에 들어오기 이전에 도입된 것이다. 또 연구팀은 하나의 새로운 박테리아 DNA 그룹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듯 하면서도 싱그러운 여름 냄새다.복사기 옆에 서 있으면 비릿한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복사 과정에서 나오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냄새다. 그런데 이 냄새는 여름철 대기 중에서 나는 ‘여름 냄새’의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좋은 냄새인 줄 알았는데… 유독한 오존여름철 뉴스에는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됐고, 적외선으로 온도가 낮은 별, 자외선으로 온도가 높은 별을 보게 됐다. X선과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천체를 보여 줬다. 맨눈으로는 볼 수 없었던 우주의 다양한 아름다움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