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천둥
번갯불
d라이브러리
"
번개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둘로 가른
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최우수상-
번개
이중진(32)전하를 띤 구름 사이의 마찰 때문에 일어나는 방전 현상이
번개
다. 작품에서는 특히 수십만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는 벼락(가운데 굵은줄기)을 잘 포착했다.우수상-꽃잎모양 서릿발 박연화(36)땅 속에 있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표 밖으로 스며 나온 뒤 얼어 얼음꽃을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망원경이 ‘고층
번개
’를 포착하게 된다. 고층
번개
는 보통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일반
번개
와 달리 구름에서 하늘로 올라간다. 반지름과 높이가 수십km인 이 불덩이는 100~1000분의 1초만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고 한다. 직접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우주에서 잠을 자는 경험은 어떨까. ISS 내부가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많아 휴대전화로 통화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오히려 패러데이의 새장 효과는 천둥
번개
가 치는 날 자동차를 안전한 대피처로 만들어 준다.벼락이 쳐서 엄청난 양의 전자가 자동차에 떨어져도 전자는 자동차의 표면에만 있게 되고 차 내부의 전기장은 0으로 유지된다. 자동차 표면에 쌓인 엄청난 양의 ... ...
너는 너무 물질적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상태로, 우주의 99%는 플라즈마 상태라고 추정된다. 우리가 접할 수 있는 플라즈마 상태는
번개
나 극지방의 오로라, 형광등, 네온사인 등이 있다 물질의 상태 변화가열하거나 차게 식혔을 때 물질의 상태가 액체에서 기체로, 혹은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현상을 물질의 상태 변화라고 한다. 고체가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보자. 우주에서 바라보는 지구는 살아 숨 쉬는 모습 그대로다. 소용돌이치는 태풍이나
번개
를 동반한 폭풍우도 볼 수 있고, 오로라의 환상적인 색깔도 감상할 수 있다. 우주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습도 좋은 배경이다.다행히 ISS는 지구궤도를 90분에 한 번씩 돈다. 놓쳤던 장면은 다시 촬영할 수 ... ...
인터넷 거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수치계산으로 재현하고 있다 전파의 특성을 이용해 비나 눈이 오는 지역 · 천둥과
번개
(雷電) · 구름의 분포 등을 관측하는 레이더 예보 작성시에는 레이더로 탐지한 태풍 및 강수지역의 위치 · 범위 · 이동방향 · 속도, 강수강도, 뇌우의 위치 · 고도의 특성과 추정면적 · 강수량 등이 분석된다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멈춰라이 노래를 부르다가 갑자기 멈추면 술래가 움직이는 사람을 찾아 낸다. 아무리
번개
같이 멈춰도 조금 있으면 몸이 흔들리게 마련이다. 모든 물체가 100% 완벽하게 멈출 수는 없을까. 바로 온도를 영하 273.15℃로 낮추는 것이다. 이 온도에서는 모든 분자와 원자가 그대로 멈출 정도로 얼어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많이 집적하여 천둥
번개
를 동반하며 그 아랫층에 많은 비를 머금고 있다 따라서 천둥
번개
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거의 모두 적란운이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대규모적인 용오름의 일종 알기 쉽게 아주 큰 회오리 바람의 일종이라고 생각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 말은 원래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아이스크림·잼·마요네즈 등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 이용된다천둥과
번개
를 동반한 강우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積雲)에 수반하여 발생한다 매초 10m 이상의 격심한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대기의 상승이 대류불안정 상태로 되기 때문 뇌우에는 전선에 수반하여 ... ...
벼락이 모진 놈 좋아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음전하를 띤 구름과 구름,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에 생기는 방전현상의 일종으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
다. 벼락은 뾰족하게 솟아있는 물체에 잘 떨어진다.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칠 때 벼락도 지름길을 택하는 까닭이다. 그러니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는 속담이 맞는 셈이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