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차
밭
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펼쳐진 광대한 평야를 담는가 하면 때로는 시골집 앞마당에 옹기종기 꾸며져 있는 텃
밭
의 정겨움을 포착하기도 한다.이뿐이랴. 사시사철 싱싱한 해산물이 우리 식탁에 오를 수 있게 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는 연안양식장의 풍경 또한 가슴을 시리게 한다. 남해안 아름다운 한려해상국립공원에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루에 마른 논을 25아르나 갈 수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시골 작은 논이나
밭
에서 소가 쟁기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은 사실상 육우 전용으로 키우기 때문에 성장을 빠르게 하고 육질이 좋게 하는 여러 비법들이 개발되고 있다.촛불시위라는 홍역을 치루고 다시 시장에 등장한 미국산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그의 마지막 책의 내용인 지렁이와 흙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역시 집 정원과 주변의
밭
그리고 산책로에서 행해졌다. 다윈은 19세기 가장 유명한 과학자로 인정받았지만, 사실 다윈의 삶은 당시 막 등장하던 전문과학자의 전형적인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 많은 과학자들이 박물관과 실험실 또는 ... ...
2009년 별난 소들의 별난 쇼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9~10월쯤 작고 하얀 꽃을 피우니까 시골의 오솔길이나
밭
근처에서 날 찾아봐! 땅 위의 소우각호사진에서 소의 뿔처럼 생긴 호수가 보이니? 그게 바로 나, 우각호야. 난 강의 흐름 때문에 생겨. 강이 하류에 다다라 평야를 만나면 S자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흐르기 시작해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물과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동물이 적은 것이 당연하다고 보고 있다. 인가가 가깝고
밭
이 있는 저지대에는 사람이 남긴 음식 등 동물이 먹을 것이 상대적으로 풍부해 사는 종의 수도 많다는 것이다. 종착역 지리산끝나지 않은 백두대간열차는 무려 1400㎞를 숨가쁘게 달려 지리산에 도착했습니다. ... ...
샤랄라~, 요정이 춤을 춘 흔적이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있던 수피아 양은 허망상씨를 더욱 좌절하게 만드는 질문을 하는데….“흠~, 그럼 잔디
밭
에 생긴 페어리링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죠?”사건 해결 - 다시 찾은 요정!닥터고글은 허망상 씨의 눈치를 슬쩍 보면서, 페어리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조용히 말해 준다.“페어리링은 주로 ... ...
고기 먹고 체하면 능이, 감기엔 표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단단하며 맛 또한 담백하다.가을에 송이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무렵 침엽수림(특히 잔솔
밭
)에 무리 지어 자라는 흰굴뚝버섯은 어릴 때 불투명한 흰색이다가 성장하거나 상처가 나면 검게 변한다. 자실체(버섯)가 비교적 크며 조직이 두꺼워 고기처럼 씹는 질감이 매우 좋다. 하지만 국을 끓이면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신장에 비해 팔이 유난히 길고 손가락도 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금메달
밭
캐는 스포츠 과학Part 1. 지금 베이징은 과학전쟁 중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Part 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Part 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 ...
PART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가능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당당히 경쟁자를 물리치고 금메달을 따길 바란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금메달
밭
캐는 스포츠 과학Part 1. 지금 베이징은 과학전쟁 중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Part 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Part 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않은
밭
에 재배할 최적의 쌍을 찾는 실험을 할 때 4차 직교라틴방진을 이용했다. 주어진
밭
에서 가장 잘 자라는 씨앗과 비료를 가장 적은 실험횟수를 통해 찾는 방법으로 직교라틴방진 쌍으로 이뤄진 그레코-라틴방진의 배열을 택했던 것. 그 뒤 직교라틴방진은 여러 분야의 실험 디자인에 널리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