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방
해방
방향
방사
자유
취소
해제
d라이브러리
"
방면
"(으)로 총 3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 암호학과 같은 학문에는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면서“이를 위해서는 다
방면
의 책을 읽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또 가끔씩 미래에 대한 모습을 공상하는 일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인터넷 뱅킹의 인증서에 사용된 암호 인증서가 설치된 후에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효과는 아직 미지수다.지난 한세기 동안 암을 극복하기 위한 서양의학적 방법은 다양한
방면
에서 시도돼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속시원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암이 쉽게 정복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암세포의 전이 특성 때문이다. 암은 최초 발생한 장소에서 무한 증식을 하다 어느 순간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통장에 붙은 자기띠 등에 새겨진 자기적 정보가 어떤 모양인지도 알 수 있다.이처럼 다
방면
의 기능을 가진 SPM은 다른 어떤 도구도 따라잡기 힘든 나노과학의 강력한 도구가 되고 있다. 경이로운 나노세계의 눈뿐 아니라 손발이 되고 있는 셈이다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수상자인 덴마크의 피비거였다.18세기 계몽시대 이후 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여러
방면
에서 그 위력을 보여 주었고, 19세기에 파스퇴르를 비롯한 많은 의학자들이 과학적 방법을 의학에 도입했다. 이 시기에는 암에 대한 과학적 연구도 많이 진행됐지만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1 ... ...
2. 성인 몸에서 세포공장 찾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원하는 세포나 장기조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길을 밝히는 일이다. 전세계적으로 이
방면
의 연구는 이제 어린아이가 발을 한발 딛으려고 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대안으로 앞으로 좀더 심도있는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체줄기세포를 각 장기별로 미리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됐다.염교수는“기계공학자가 중공업으로만 진출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여러
방면
으로 공학자가 진출할 수 있다는 열린 마음과 다양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의공학은 여러 학문과 관련돼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대개의 의공학자는 염교수처럼 우선 공학을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기존의 생물학만의 연구대상이 아닌 것처럼, 나노과학이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다
방면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야말로 21세기는 통합의 세기인 셈이다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플라스틱도 전기 통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않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졌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고분자의 전기절연성은 다양한
방면
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모든 플라스틱 고분자가 절연체 성질만 갖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조건에서 합성된 고분자를 잘 처리하면 금속 못지 않은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 1977년 앨런 히거(Alan J.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붙어있는 바코드를 인식하며, 미세 가공에 이용되는 것도 레이저다.이처럼 레이저가 다
방면
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무엇보다 레이저가 단일한 파장과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나오며 직진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 에너지를 좁은 면적에 집중시킬 수도 있다. 보통의 광원은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지금보다 더 큰 성과를 거두지 않았을까.1990년대 들어서 남북간의 교류가 여러
방면
에서 민간차원으로 시작됐다. 현재 생태분야에서도 제3국을 통해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1994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생물명 통일작업. 한가지 새를 두고 남에서는 두루미, 북에서는 흰두루미로 부르고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