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응"(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견됐어. 눈앞에 있는 사람이 물건을 쥐는 모습을 본 원숭이는 자신이 물건을 쥘 때 반응하는 뉴런이 활성화됐지. 지금까지 거울 뉴런은 주로 운동을 담당하고 있는 뇌에서만 발견되어, 단순한 움직임만 따라할 수 있다고 알려졌어. 스탠포드대학교 양태홍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거울 뉴런이 싸움 ... ...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방관자 T 세포 역할을 찾아냈어요. 자가 면역 질환은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또는 잘못 반응해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아닌 우리 몸을 공격하는 병이에요. 손발의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류머티즘성 관절염이 대표적인 자가 면역 질환에 속하지요. 최제민 교수팀은 자가 면역 질환 중 하나인 다발성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장난감을 주며 그에 대한 반응만 측정하는 식이었다. 이런 경우 단순히 새로운 물체여서 반응을 보이는지, 영장류들이 정말 호기심을 느끼는지 알 수 없다. 그래서 현재 필자는 비인간 영장류의 순수한 호기심을 대규모로 연구하고 있는 소피아 포스 스위스 취리히대 박사후연구원과 함께 새로운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승인을 받아 의료용으로 사용된다. 자유 라디칼은 비공유 전자를 가지고 있는 원자라 반응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상처로 끊어진 콜라겐 분자들 사이에서 공유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즈벵갈 염료가 계속 작용할 수 있도록 빛 에너지를 저장해서 30분 이상 녹색 빛을 내는 잔광발광입자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착상을 마친 인간 자궁내막 오가노이드는 임신이 성공한 것처럼 임신테스트기에 양성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더욱 발전하면 가까운 미래에는 인공자궁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인간을 만들 수 있는 세상이 온다면 1978년, 시험관 아기 탄생은 신의 영역으로 여겨진 생명의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급격한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대표적인 예로 리튬을 물에 넣었을 때와 같은 격렬한 반응이 있다. 한두희한국항공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금속입자연소추진파이로 분야의 전산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적 모델링을 ... ...
- [특집] 음향 메타물질로 UFO의 트랙터 빔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물체를 움직이는 방법을 찾았지요.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음파 파장에 반응하는 메타 구조를 찾았어요. 그리고 이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뒤, 20kHz(킬로헤르츠)의 초음파로 물체가 움직이는지 실험했습니다. 연구팀은 물체에 파동이 닿으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산란 현상을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감싼 형태로 구성돼있습니다. 또한 호르몬을 가하면 마치 실제 방광처럼 근수축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연구팀은 방광 어셈블로이드를 이용해서 방광암세포와 기질조직 간의 상호작용도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오가노이드 기술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방광의 기능적 측면들을 재현하는 데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속이는 수단이 있습니다. 암세포가 면역회피물질인 PD-L1을 내보내면 T세포의 PD-1과 반응해서, T세포가 암세포를 인지하지 못합니다. 원래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돼야하는데, T세포의 PD-1이 브레이크를 겁니다. 결국 T세포는 암세포를 보고도 제거하지 않습니다. 도둑을 보고도 지나치는 경찰 같죠 ...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루며 생명에 가까워진다. 작은 아미노산 분자들이 결합해 만들어진 단백질이 화학 반응을 제어하고, 우라실과 염기들이 모여 만들어진 유전 물질에 유전 정보가 저장된다. 또 이렇게 모인 고분자가 세포를 이루면서 생명이 가능해진다(93쪽 모식도 참조). 따라서 유기물은 생명의 흔적을 찾는 첫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