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등"(으)로 총 1,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우리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에서 자라기 시작해서 한 장기를 이루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한 것을 뜻해. 장기와 닮아서 ‘미니 장기’라고도 불리지. 오가노이드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실험 모델로, 의료계의 핫한 주제란다.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방법은 사람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힌트를 얻었어. ... ...
- [교육뉴스] 나도 혹시 코로나 블루? 교육 콘텐츠로 마음 건강 챙기세요!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바깥 활동이 줄어들고 일상이 크게 변하면서 오는 우울감이나 무기력증 등을 ‘코로나 블루’라고 합니다. 코로나19와 우울을 뜻하는 블루(blue)를 합친 단어로, 몸 건강뿐만 아니라 마음 건강을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이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학업 부담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 Hubble “인간은 오감으로 자기 주변의 우주를 탐험한다. 우리는 이 모험을 과학이라 부른다.”_에드윈 허블지난 30년 동안 우주에서 활약하며 인류 탐험의 역사를 상징하게 된 허블우주망원경. ‘허블’이라는 이름은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수많은 천문학자 중에서도 ... ...
- [인포그래픽] 한 눈에 보는 역대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권 바깥의 우주 공간에서 천문학 관측을 수행하는 과학 기기다.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 X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해 선명한 천체 정보를 제공한다. 우주망원경은 수행하는 임무에 따라 궤도가 다르며 관측할 수 있는 빛의 파장 역시 다르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나노입자인 퀀텀닷(QD·Quantum Dot). 퀀텀닷의 가장 큰 특징은 같은 재료로 만들더라도 크기를 조금만 달리하면 발광하는 색을 비롯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장점이다. 예를 들 ... ...
- [과학뉴스] 태양 표면, 초근접샷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월 29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인류 역사상 가장 자세한 태양 표면 사진을 공개했어요. 태양 표면의 쌀알무늬가 자세히 보이는 사진이었지요. 쌀알무늬는 태양 표면에서 플라스마*가 바깥쪽으로 나왔다가 다시 태양 내부로 들어가는 대류 현상이 일어나며 나타나는 무늬예요. 사진 속에서 밝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읽으면천재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은 등장과 함께 여러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선사했다. 그동안 각 분야에서 실험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도 분명했던 한계치가 퀀텀닷을 도입하면서 뚫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혜택을 보게 된 대표적인 분야가 TV 디스플레이다. 그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수십 대의 컴퓨터 서버가 가득 늘어선 서버실 안. 서버에서는 상대방의 목소리가 안 들릴 정도의 굉음과 열이 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바깥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2월, 대형 에어컨은 터보 모드로 가동 중이었지만 서버실 안은 후끈거렸다.“서버에서 수많은 데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전용면적 600cm2 남짓의 작은 집, 하지만 이 집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집이 주는 안정감과 안락함은 절대 작지 않았습니다. 특히 입구부터 코를 찌르는 향긋하고 달콤한 냄새는 이 집의 자랑거리죠. 생의 절반 가까이 살고 나서야 자신의 취향을 깨닫고 아카시아가 흐드러진 이곳, 강원도까지 내려온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아로코스의 비밀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고속으로 충돌해 만들어졌다.’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완만한 속도로 뭉쳐 만들어졌다.’ 그간 태양계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이렇게 상반된 두 가지 이론이 존재했다. 그중에서도 전자인 ‘고속 충돌설’이 우세했다. 그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