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시기후"(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환경 보전 관련 활동을 하는 문산여고 해바라기반은 2011년 대한민국 창의체험 페스티벌 최우수 동아리(여성가족부 장관상)로 선정됐다. 게다가 지난 2월 15일 국회기후변화포럼이 주는 ‘2012 대한민국 녹색기후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도 받았다. 이 밖에도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SESE ... ...
- 건설환경공학과학동아 l2012년 02호
- 1 건설환경공학이 뭐죠?기후변화 문제는 인간의 문명생활과 자연이 조화를 이뤄야 함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건설환경공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활의 토대가 되는 다리, 댐, 도로, 상하수도 등 사회기반 인프라를 계획하고 설계하며 건설, 유지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 건설환경공학은 사 ... ...
- 삼한사온은 신기루?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올겨울 강추위가 유난합니다. 열흘간 강추위가 지속됐지만 한파는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겨울 날씨의 대표적인 ‘삼한사온(三寒四溫)’.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진 걸까요. 한번 한파가 찾아오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서 삼한사온이란 말이 무색해졌습니다.” -2011년 1월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 섬 바다 건너 머나먼 대륙으로아프리카를 나온 인류는 동쪽으로는 동남아시아로, 서쪽으로는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이 중 동남아시아 방향으로의 ‘확산(목적없이 서서히 퍼져나갔다는 뜻)’은 6만 년 전에 시작됐는데 해안을 따라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아프리카와 더 가까운 유럽 ... ...
- Intro. 지구, 70억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구가 70억 인구 시대를 맞이했다. 1998년 60억 시대를 맞은 지 13년 만이고, 10억 시대를 맞은 지 207년 만이다. 인류 탄생 이후로 잡아도 20만 년이 채 넘지 않는다. 20만 년이라고 해 봐야 45억 년 지구 전체 역사에서는 그야말로 찰나다. 짧은 기간 동안 인류는 공간적으로 폭발적인 진출을 이뤄냈다. 강 ...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구 인구가 0에서 70억까지 늘어나는 데 걸린 시간은 20만 년이 채 안 된다. 지구 역사 46억 년, 생물 역사 40억 년에 비하면 그야말로 찰나다. 특히 최근 2000~3000년 사이에 수십 배로 급속히 늘었다. 그동안 어떤 극적인 일이 있었는지 살펴보자.20만 년 전 ~ 10만 년 전1 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 종이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국제연합인구기금(UNFPA)은 2011년 인구 70억 시대를 선언하며 80억, 90억, 100억 시대도 함께 예측했다. 80억이 되는 시기는 14년 뒤인 2025년, 90억은 다시 18년 뒤인 2043년이다. 100억은 40년 뒤인 2083년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이 연도 앞에는 물음표가 붙어있다. 100억 인구 달성이 순탄하지는 않을 거란 예상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이런…, 또 실패야! 아무리 다시 만들어 봐도 원하는 맛이 나오질 않아. 왜 내가 만든 요리는 다 맛이 없는 거지? 주방장님 말대로 정말 소질이 없는 건가….잠깐, 근데 이게 무슨 냄새지? 음~, 군침이 도는 걸! 나 말고 주방에 있는 사람이 또 있나? 킁킁~, 냄새를 쫒아….엥? 쥐? 쥐가 요리를 하고 있는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태국에서 홍수가 났다. 조금 먼 얘기지만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10월말 갑자기 하드디스크 값이 두 배 이상 올랐고 덩달아 컴퓨터 가격도 올라갔다. 원인은 태국에 큰 홍수가 나 하드디스크 공장이 잠겼기 때문이다. 멀리 동남아시아의 일이지만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홍수를 수 ...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필자는 세계 50여 개국, 300여 개 도시를 여행했다. 도심 속에서 빌딩과 함께 어우러진 녹지와 사람들이 직접 가꾸는 정원과 숲, 그리고 녹지를 즐기는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특히 도심 속 공원과 녹지, 식물원, 문화공간을 주의 깊게 보는 편이다. 미래 도시는 어떻게 가꿔야 할까. 필자는 조경전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