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실
행동
몸놀림
움직임
짓
역할
직무
d라이브러리
"
노릇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18세기 전문 탐정의 시조 비도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차라리 형무소 안으로 들어가는 길을 택했다. 그는 경찰서장에게 형무소 안에서 스파이
노릇
을 하겠다고 제의하고, 1년 9개월간 옥살이를 자청했다. 이때 빼낸 정보로 범죄자 체포건수는 급증했다.경찰은 비도끄의 공로를 인정해 그를 경찰 전속 탐정으로 임명했다. 비록 무보수였지만 체포권이 ... ...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논문을 프랑스어로 번역해주고, 라부아지에의 연구결과를 글로 정리하는 등 조교
노릇
을 톡톡히 해냈다.그러나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상황이 바뀌었다. 세금징수원들이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기 시작했고, 라부아지에와 그의 장인 역시 같은 운명에 처했다.라부아지에 사후에 부인은 훌륭한 ... ...
3. 1998년 노벨상 : 일산화질소, 고혈압 막아주고 면역도 강화시킨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일산화질소가 인체에서는 오히려 심장혈관 체계에서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하는 효자
노릇
을 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더욱이 일산화질소는 최근 세계적인 화제를 모은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의 원리도 담고 있어 흥미롭다. 비아그라는 일산화질소가 성기의 혈관을 확장시켜 발기가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대신하여 야훼가 모세에게 명령한 모든 말씀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달하는 대변인
노릇
을 한다(출애굽기 4:14-16). 코헨은 아론이 그가 만든 규칙에 의하여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아론이 모세의 대변인인 것처럼 아론을 자신의 대리인으로 비유한 것이다. 미국의 저명한 인공지능 저술가인 파멜라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위 속을 들여다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살아있는 사람의 위를 꺼내 볼 수는 없는
노릇
이다. 만일 건강에 위험하지 않을 정도로 배에 구멍을 뚫고 위 속을 관찰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19세기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 물론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라 총기사고로 우연히 발생한 사례다.18세기 중엽까지 ... ...
장애인을 돕는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로봇이다. 1997년 개발에 착수한 이 로봇은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를 찾아가는 길잡이
노릇
을 한다. 앞쪽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려줄 뿐 아니라, 로봇 뒤에 센서가 달려 있어 뒤따라오는 장애인과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개를 훈련시킨 맹도견은 한마리당 3천만원을 호가하며,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낼 때 동작 단계별로 무수히 많은 프레임을 모두 그릴 수는 없는
노릇
이다. 그래서 주요(key) 프레임을 설정해 그린 후 키프레임 사이의 유사 동작을 생략한 채로 이를 연속적으로 보여줄 수밖에 없다. 물론 관객의 입장에서는 화면이 부드럽지 않게 넘어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 ...
여름 설사 유산균 섭취가 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해한 물질의 독성을 제거하며 비타민 합성을 돕는 등 효자
노릇
을 톡톡히 한다. 그래서 유산균 제품은 요구르트와 같은 건강식품을 비롯해 질병을 직접 치료하는 각종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유산균 중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끈 것은 ... ...
2. 앤지오스태틴과 에도스태틴의 미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관찰한다. 약물의 부작용을 아는 것이 목적이므로 환자에게 시험할 수는 없는
노릇
이다. 그래서 실험 대상은 30-40명의 신체건강한 지원자로 구성된다.둘째 단계는 유효성에 초점을 맞춘다. 어느 정도의 약물을 주입해야 가장 효능이 크게 발휘되는가를 파악한다. 이번에는 5백-6백명의 암환자가 ... ...
인간과 동물 어떻게 대화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갓 태어난 아이가 엄마 말을 알아 들을 수는 없는
노릇
. 마찬가지로 사람보다 지능이 떨어지는 동물에게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길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단어를 반복해 들으며 자란 어린 아이가 어느 순간부터 말문이 틔듯이, 동물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