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념
사상
이데올로기
이념
생각
관념론
느낌
d라이브러리
"
관념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내용이다. 인기 비결은 확 바뀐 휴대전화의 화면 모양. ‘휴대전화는 세로’라는 고정
관념
을 깨고 화면을 가로로 돌려 볼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붙은 이름이 ‘가로본능 폰’이다. 광고는 ‘만약 세로라면 얼마나 불편할까’라는 질문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던 가로본능을 자연스럽게 끄집어냈다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싶다는 것이 플래시 세대의 강렬한 욕구이기 때문이다. 쇠처럼 단단한 기성세대의 고정
관념
을 절단하고, 신세대의 모든 것을 접합시켜 보고 싶은 욕망이다. 이 욕망은 ‘플래시댄스’의 주제곡 ‘What a feeling’에 나오는 가사 ‘Take your passion and make it happen’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플래시 세대가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1073741823으로 갚아야 할 돈은 10억원이 넘는다. 이처럼 기하급수는 인간의 보편적 예측과
관념
을 뛰어 넘는다. 반도체 칩의 집적도가 2년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무어의 법칙’이 바로 이런 기하급수의 법칙이다.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보자. 언제나 내기에서 이기는 방법을 아는가? 방법이 있다. 이길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잘못 재구성해낸 것이다. 이를 ‘오기억’이라고 한다. 기대, 고정
관념
, 편견 등이 바로 오기억의 산물이다.교사가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 다음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숙제를 내주면 학생은 기억한 내용을 재구성해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온다. 오기억을 만들었다면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맛봉오리가 있는 혀의 모든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며 “혀지도는 과학에서도 고정
관념
을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경북대 김언경 교수는 “특정한 맛에 대한 민감도가 혀의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를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혀 전체에서 느낄 수 있다”고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인해 공의 회전력이 더욱 커져 그 해 월드컵에서는 여느 해보다 많은 골이 터졌다.고정
관념
을 철저히 깬 축구화와 축구공은 모두 아디다스의 작품이었다. 1년에 하나 이상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아디다스의 의지를 그대로 실천한 것. 아디다스 1은 그런 아디다스의 가장 최근 작품이다.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곡면이 인체에 맞게 설계돼 있다.앤트1952년, 성형합판·철제봉의자다리는 네 개라는 고정
관념
을 깨뜨린 ‘앤트’는 덴마크의 건축가이자 인테리어 디자이너인 얀 야콥슨의 작품이다. 좌판과 등판이 일체형으로 개미(ant)허리처럼 잘록한 허리가 시각적 포인트다. 오늘날 널리 쓰이는 의자의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장면이 나온다. 얼룩말 무늬만 눈에 들어오는 초원에게 그것이 치마의 무늬일 뿐이라는
관념
이 없기 때문이다.자폐증 여부를 알 수 있는 테스트 가운데 하나가 ‘샐리`-`안느 과제’다. 샐리와 안느가 놀고 있다. 샐리가 조약돌을 바구니에 넣고 방을 나간다. 그 사이에 안느가 조약돌을 꺼내 놀다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방영순 큐레이터는 이렇게 말한다.“디자인이 물건의 외형을 아름답게 만든다는
관념
은 진부합니다. 물건을 만드는데 꼭 고려해야할 것은 제품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 이전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유니버설디자인제품은 다른 어떤 제품보다 과학적이죠.”최근 들어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이는 사건들을 결합하는 능력, 이것이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의 세 번째 요소다.고정
관념
을 버리다빛과 에테르의 문제를 고민하던 사람이 아인슈타인뿐인 것은 아니었다. 유럽의 유수한 물리학자들이 이와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그 중 유럽 최고의 이론 물리학자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