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d라이브러리
"
과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식물계절 연구 현장에 다녀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단풍 탐사 등 시민
과
학에 참여해 데이터를 쌓아준다면 연구자들은 그걸 토대로 식물계절
과
기후변화에 대해 더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거예요 ... ...
[특집] 식물도 기후변화에 반응하는 중! 식물들의 시간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새로운 잎이 나는 종류를 말한다. 우리나라 식물의 시간표는 얼마나 달라졌을까?2009년
과
2018년 사이 우리나라의 낙엽활엽수 20종의 식물계절에 일어난 평균 변화를 시간표로 나타냈다.●자료: 국립수목원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꼭짓점을 q개 이하의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를 나타낸 식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과
같은 사각형 그래프 G를 하나 생각해 봅시다. 3가지 색을 써서 칠한다면 어떨까요? 꼭짓점 하나의 색을 정하고 나면 인접한 두 꼭짓점의 색이 같은 경우는 3×2×2=12 가지예요. 다른 경우는 3×2=6가지의 방법이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함께 소통하기 때문에 큰 장애물을 조금씩 넘는 방법이 쏟아져 나오거든요. 그 결
과
2014년 4월, 246까지 소수의 간격을 줄일 수 있었답니다. Q. 에도 폴리매스 커뮤니티가 있어요! 그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에 행운을 빌고, 포기하지 마세요! 종종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샛노란 발이 인상적이에요. 나비임하준 대원 일산탐사대 팀탐사 생물 네발나비
과
발견 위치 경기 고양시 하정주 매니저봄 햇살을 맞으며 휴식을 취하는 나비를 관찰했군요! 조류고유빈 대원 | 도요도요 팀탐사 생물 검은머리방울새발견 위치 - 하정주 매니저더 좋은 기록이 되기 ... ...
[특집] 꿀벌도 헷갈려! 식물계절이 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사라지고, 식량은 부족해지고….식물계절이 달라지면 무슨 일이?Part3. [특집] 위성
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계절 연구방법은?Part4. [특집] 식물계절 연구 현장에 다녀오다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리고 막심 라지윌 미국 캘리포니아공
과
대학교 교수가 있습니다. 뛰어난 동료 수학자들
과
의 연구 교류가 그의 훌륭한 업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수학계에서도 이러한 연구 환경이 주어지고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길 기원합니다 ... ...
[
과
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제 박사
과
정 지도교수인 마크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연산의 한계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연구를 합니다. 그런 연구를 토대로 2014 ... 정도의 분량이 나올만큼 연구된 내용이 적습니다. 브레이버먼 교수님의 연구는 이 교
과
서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정수론’ 연구가 각광받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현대 산업
과
미래 산업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정수론 연구인 타오 교수의 ‘그린-타오 정리’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해요. 그린-타오 정리는 소수에 관한 정리예요. 이 세상의 숫자들 중 0, 2, -3
과
같이 ‘(자연수)-(자연수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
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진출하는 것
과
졸업 후 바로 설계 인력이 되는 것은 다르다. 김병성 교수는 “반도체학
과
를 졸업하면 전문가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표현이 가장 정확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