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법칙 1949년 미국의 에드워드 머피가 주장한 법칙으로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되기 마련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놀랍지 않게도 머피의 법칙에 관한 연구도 이그노벨상(1996년 물리학상)을 받았다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생겨난 결과였죠. 고대 사람들은 그것이 나노입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지만,
결국
우리는 이런 사소한 발견들을 계기로 나노입자의 존재와 그 가능성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독성 한계 극복한 탄소 양자점 빛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시 말하면 광학적인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 중에서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구글 개발자의 이야기를 듣고 감명받아 꼭 구글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생각하지요.
결국
2015년에 4번의 고배 끝에 구글에 입성했습니다. 처음에는 구글 도쿄 지사에서 일하다가 2019년 미국 시애틀 지사로 오면서 마음에 품고 있던 원주율 계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Q. 원주율을 계산하게 된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최고의 대학교에서 인정을 받았으니 전공을 수학으로 바꿔도 되겠다는 확신이 생겼고,
결국
편입을 결심했습니다. “MIT 수학과로 편입한 뒤 ‘실해석학’이라는 수업을 들었어요. 이 수업에서 증명이라는 것을 처음 배웠어요. 다양한 정리나 풀이법을 종합해서 증명해야 했지요. 오랜 시간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내세배분제라는 신박한 제도까지. 오만 가지 상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졌지만,
결국
봉착한 지점은 하나였다.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 그래서 인간으로 태어나야만 한다. 설진은 이러한 몽상 속에서 천천히 잠에 빠져들었다. 마닐라 공항에 도착하니 오전 10시가 훌쩍 넘어 있었다. 하필이면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합니다”라고 답하곤 했다. 학계에서 말하는 20년이란 자신들이 은퇴한 후를 뜻하므로,
결국
‘언제 가능해질지 알 수 없다’는 의미였다. LTE 기술 개발 현장에서 충격을 받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친구들은 여러 곳으로 흩어졌다. 다수가 삼성에 취업했고 해외로 박사후연구원을 나가기도 했다.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방정식이 쓰이는데요. 이 방정식을 못 풀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많아요. 방정식은
결국
세상에 있는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 나타난 거니까요. 그런데 허수는 방정식의 해로도 나타나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이 허수 덕분에 가능하지요. 그런 면에서 봤을 때 허수의 존재감은 ... ...
[Art Math] 인물의 생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엘렌 헥 Ellen Heak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그의 이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뫼비우스 띠에 손가락을 대고 표면을 따라가면
결국
시작 지점으로 다시 돌아와요. 저는 이런 뫼비우스 띠의 특성이 어떤 생각이 자꾸 머리에 맴도는 모습처럼 느껴졌어요." 2012년 엘렌 헥 작가는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을 재해석한 작업을 하고 있을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따위’잖아?”나를 조금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함부로 말하는 그를 용서할 수 없었다.
결국
머리끝까지 차오른 화를 이기지 못하고 쏘아붙였다.“닥쳐요.”“응?”“닥치라구요.”그때 하필이면 카메라가 켜져 있던 것이 불운이라면 불운이었을까. 나는 ‘채티를 잊지 못해 정신이 나가버린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배웠다. 그러던 어느 날,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고 영상을 보다가 ‘알고리즘이
결국
나의 성향을 나타내는 것 아닌가’란 생각이 들었다. 여기에서 착안해 사람을 닮아가는 인공지능에 대한 발상을 떠올렸다. Q. 소설은 인간이 인공지능에 의해 위안을 얻는 이야기다. ‘사람을 닮아가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