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고
고시
벽보
삐라
d라이브러리
"
게시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고백법을 검색해 봤다.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서울대학교 익명
게시
판 대나무숲에 올라온
게시
글이었다. 함수를 활용해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상대방이 x이고, 자신이 y=f(x)이면서 증가함수이고 싶다는 건 상대방에 맞춰 함께 사랑을 키워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계도함수★조차 항상 양이라는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페이스북은 친구 얼굴을 인식하고 이름을 찾아내요. 정확히 얼굴 옆에 이름을 나타내
게시
물에 표시할 수 있게 돕지요.유장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인지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생체 인식 기술이 사람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라며 “보안과 금융은 물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있어요. 자신을 ‘기계공학을 전공한 기업체 수석연구원’이라고 밝힌 한 블로거는
게시
글을 통해 ‘페트병 에어컨에는 줄-톰슨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지요. 일반 공기엔 공기가 빠르게 지나가도록 하는 압력이 있어야 하는데, 보통 공기엔 그런 힘이 없다는 거예요.게다가 줄-톰슨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나라와 기업이 개입하면서부터요. 공무원과 직장인들이 돈을 받고 댓글과
게시
물을 올리면서부터요. 이제 인터넷에는 텅빈 말만 가득해요. 늙은이들이나 남아있죠.”그랬지.마음을 닫고 마인드넷에 들어가는 건 투명인간으로 강남역을 돌아다니는 것 같았다. 공허한 잡담뿐인 트위터처럼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쓰촨 성 지진 때 별도의 사이트를 만들어 지진 발생 지역에서 사람 이름을 검색하면 최근
게시
된 글에서 해당 이름이 있는지 검색해줬어요. 지진 발생 5일 만에 이 사이트의 방문 횟수가 50만 회를 넘을 정도로 관심을 많이 모았어요.2010년에는 실종자 수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을 추가해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편집하는 과정에서 빠진 내용을 모아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독자들과 토론할 수 있는
게시
판도 열었다. “여기에 실리지 않았지만, 문명 재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게 있다면 내 웹사이트에 글을 남겨달라”는 문구를 책에 써 뒀다. 독자와 소통하는 솜씨가 남달랐다. 재직 중인 대학에서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일부 누락됐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교수 또는 연구책임자가 되기 이전 논문을
게시
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보다 사회적 자본 많은 C국가석학인 원로 과학자 C는 이론물리학자로, 그의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
[과학뉴스] ‘만찢’ 오징어, 영국 탐사팀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만화를 찢고 튀어나온 듯한 귀여운 오징어가 발견돼 화제다. 영국 해양탐사연구팀인 E/V 노틸러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의 해저를 탐사하던 중 주 ... 흘린 장난감 같다”고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고, 이는 영상에 고스란히 녹음됐다. 영상은
게시
된 지 5일 만에 조회수 136만 건을 돌파했다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전지를 돌려받은 뒤 상대방 조의 검토를 확인한다.8. 가능하다면 완성된 도미노를 교실에
게시
한다.남들과는 다른 멋진 모양의 도미노를 만들어보자며 으쌰으쌰 문제를 풀고 디자인을 구상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참으로 즐거워 보인다.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거쳐야 하는 문제 풀이 과정은 어쩌면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추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도록 한 컴퓨터 학습법이다.딥텍스트는 페이스북에 탑재돼
게시
글을 초당 수천 개씩 분석할 예정이다. 개발팀은 “딥텍스트가 20개 이상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으며, 글과 이미지가 섞인 콘텐츠에서 사람과 장소, 사물을 구분할 수 있다”고 적었다. 또 이와 함께 딥텍스트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