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
하천
d라이브러리
"
강물
"(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밝혔다.미국 워싱턴대의 제프리 리키 박사팀은 4월 ‘네이처’에 아마존 열대우림의
강물
과 습지에서 낙엽 등이 썩는 과정에서 숲이 흡수하는 만큼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열대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와 배출량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 대기 중에 배출되는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 RNA
강물
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어귀에 퇴적물이 쌓여 삼각형 모양을 이룬 지형빙하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골짜기에 빙하가 사라진 뒤 바닷물이 들어와 생긴 좁고 긴 만 가로로 자른 면은 U자 모양을 이룬다하천이 ... ...
얼음과 소금으로 온도 내리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얼음과 소금처럼 어는점 내림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영하의 날씨에도
강물
은 얼지만 바닷물은 얼지 않는 것이나, 겨울철에 눈을 녹이기 위해 염화칼슘을 뿌리는 것이 바로 이 현상이다. 염화칼슘이나 소금을 눈에 뿌리면 어는점이 내려가게 돼 눈이 쉽게 녹는다. 실제로 소금을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타고 역류를 벗어날 수 있다.역류의 두 얼굴, 소용돌이강에 장애물이 있으면 그 주변에서
강물
의 흐름이 변한다. 장애물에 부딪친 물살은 장애물을 끼고 돌아가며 가속되고 이 물살은 장애물 바로 뒤편의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메워주기 위해 물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 즉 역류가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몸통을 이루는 기둥은 ‘초석’이라는 돌덩이 위에 사뿐히 올려져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강물
이 범람할 때 집이 둥둥 떠내려가는 기록사진을 종종 볼 수 있는 것이다.이렇게 초석과 몸통이 떨어지게 만든 이유는 땅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 집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집 구조를 결정하는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경작지를 과다하게 개간함으로써 지하수가 고갈됐고, 결과적으로 호수가 사라지고
강물
이 말라붙자 초지가 황무지로 바뀌었던 것이다. 또 강풍 때문에 사막에서부터 황폐된 지역으로 유입되는 모래도 사막화를 더욱 촉진시켰다.황사는 이제 더이상 자연현상이 아니라 사람들의 무지한 손길에 의해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필요가 있다. 최근 대구시는 도심을 흐르는 신천의 수량을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수를
강물
로 이용하는 방법을 선보였다. 하수처리장에서 나온 하수처리수를 펌프를 사용해 대구의 상류 지역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이다. 대구시는 현재 하루 10만t에 이르는 하수처리수를 9.1km의 송수관으로 보내 신천에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비추면 반짝거린다. 이때 일부러 초점을 흐리면 반짝거리는 부분이 둥그스름해져 마치
강물
위에서 햇빛이 반짝거리는 느낌을 낸다.검은 조각품을 찍을 때 흰 조명 이용올록볼록 튀어나온 조각품은 어떻게 해야 잘 찍힐까.조각품을 찍을 때는 입체감을 살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2차원인 사진으로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자리잡은 알파(α)별 아케르나르에서 끝난다. 그래서 남반구에 사는 사람은 에리다누스
강물
줄기를 다 볼 수 있다. 희미한 별을 쫓아가며 이리저리 굽이치는 강의 모습을 그리다 보면 저승으로 가는 길도 그다지 쉽지 않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남북으로 가장 길게 뻗은 별자리로 대략 60°의 넓은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괴물 티폰이 나타난다. 머리가 여럿 달린 이 괴물을 피하려고 둘은 곧장 물고기로 변해
강물
에 뛰어들었다고 한다.고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α)별이 아닌 베타(β)별로 2등급이다. 베타별을 찾은 다음 왼쪽 위에서 알파별을 찾아 그 주위의 별로 오각형을 그려보면 고래의 머리가 된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