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접"(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호를 깨끗하게 추출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뇌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려는 연구를 오랫동안 해왔다.현재는 ‘표면 근전도’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 표면 근전도란 근육에서 피부를 통해 나오는 전기 신호다. 예를 들어 뇌에서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라고 명령을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단순하고 일반적인 업무에서 재능보다 흥미가 일의 성과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한 연구도 있다(Perspectives onPsychological Science July 2012 vol. 7 no. 4 384-403).이불 밖에서 화분을 키우세요자신감 부족도 이불 밖으로 나서는 것을 막는 장애물이다. 심리학자들은 자신이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릅니다. 길이만 4만km가 넘고, 인접한 화산의 숫자는 450개에 이릅니다. 우리나라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하지만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는 지진들이 모두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 발생한 두 지진도 원인과 종류가 달랐습니다.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일어난 지진은 ... ...
- 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이 심각하다.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은 연구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 다수의 비정규직 과학자들을 인터뷰해 사태의 심각함을 알아보고(1파트),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찾아봤다(2파트).▼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정규직 과학자,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용할 수 있게 됐다.물 속에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지구의 다양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최지웅 한양대 해양융합과학과 교수는 “예를 들어 바다에서 비가 내리면 물속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생겨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데, 이를 분석하면 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며 “특히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포하는지를 조사하면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물론 현실적으론 어마어마한 도전이다. 수백억 개 은하의 지도를 3차원으로 그려야하기 때문이다. 한 예로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해 은하를 관측한다고 해보자. 우리가 관측하는 방향에만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누비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의 이동은 시작에 불과했다. 이를 통해 수많은 동식물이 직간접적으로 사람과 함께 대륙횡단을 시작한 것이다. 3억 년 전에 초대륙(판게아)이 분리되기 시작한 이래로 동식물의 대륙 간 이동은 처음이었다.동식물뿐만 아니라 각종 감염성 질병들도 사람을 통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놓여 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습니다. 우리는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볼 수 없는 모든 것들을 추상화해 여러 가지 수많은 것들이 동시에 공존한다는 생각을 고수하려고 합니다. 그냥 ‘지금’들만 존재합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줄리안 바버의 이론에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여 게임을 펼쳤습니다. 즉, 출연진 모두가 이전 시즌에서 서로를 경험했거나 TV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한 이들이죠. 시즌 3에서 승리를 위해 여러 차례 배신을 했던 출연자는 첫 게임부터 모두의 외면을 받습니다. 함께 출연했던 이들은 협력을 거부하는 건 물론이거니와 “나는 얘는 못 믿어”,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알 수 있게 된다.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빛으로는 10년 정도 간접적인 관측을 해야만 블랙홀의 질량을 잴 수 있고, 그마저도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가 되는 거대 블랙홀만 가능하다”며 “중력파로는 태양 질량의 30~50배 정도의 (작은)블랙홀까지 발견할 수 있고, 관측과 동시에 질량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