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
손가락 관절부
손가락 마디 뼈
d라이브러리
"
주먹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모 에렉투스, 최초직립보행인류
과학동아
l
199501
화석에 의존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을 생각해보자. 과연 우리 선조들은 언제
주먹
을 지면에서 떼어내고 똑바로 서서 걷기 시작했을까.약 1백50만년전에 출현한 호모 에렉투스(원인)가 완전한 직립자세를 가진 최초의 인류였을까. 혹은 4백만년전에 지구상에 등장했다가 1백10만년전 절멸한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05
정보교환과 사냥에서의 협동작업에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그리고 아슐리안
주먹
도끼의 제작에서 보여주듯이 일련의 작업과정을 사전에 미리 구상하고 석기를 제작했다는 것은 이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의 정도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는 계절적인 변화를 미리 알고 행동하는 등의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05
오늘날의 인류가 있게 했다. 반면에 똑같은 두개골모양의 침팬지는 너클워킹, 즉
주먹
쥐고 네 발로 걸으면서 결국 사바나에서 구대륙원숭이와의 경쟁에서 밀려 열대우림지역에 남게 됐다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산소를 배출하게 되므로 악취가 없어진다.또 사료를 EM으로 발효시켜 소 1두당 1일 한
주먹
(약 20g)씩 기존 사료에 섞어서 먹이면 장내의 악취를 흡수하고 소화를 도와 생장이 빨라지고 건강해지며 육질도 좋아진다. EM은 소가 먹는 물에 1만배 정도로 희석해 먹여도 좋다.음식찌꺼기를 유기질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10
것을 말한다. 이 환각 현상은 대단히 섬세하고 사실적이어서 어떤 때는 손가락들이
주먹
을 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날은 손바닥을 펼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며, 심지어는 손등에 벌레가 한마리 기어가는 것과 같은 간지러움까지도 경험한다.이에 반하여 '편측무시'(hemineglect)라는 매우 생소하게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07
배설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인간의 신장(콩팥)은 두개로 강낭콩 모양의 기관인데 크기는
주먹
만하다. 이들은 등쪽 척추 양쪽 체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신장의 상부에는 간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왼쪽 신장보다 조금 낮다. 신장의 무게는 체중의 0.5%(신장 1개의 무게는 1백50g 정도, 길이는 약 1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05
것이다.정상 성인의 심장 크기는 길이 15㎝, 가장 넓은 곳의 폭이 10㎝정도로 대략 자기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심장은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할 수 있는 힘을 주는 펌프다. 이 펌프는 쉽게 지쳐버리는 연약한 펌프가 아니고 평생을 통하여 잠시도 쉬지 않고 계속 일하는 강력한 펌프다. 심장이 잠시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01
판매장이나 학교 과학실에서 천체망원경의 모습을 보면 "이것으로 밤하늘을 보면 별이
주먹
만하게 보이고 또 우주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뭔가를 볼 수 있는거구나!"라고 누구나 생각한다.이러한 기분으로 부푼 기대감과 함께 벼르고 별러서 많은 돈을 주고 구입한 천체망원경을 통해 처음으로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09
신에 대한 경외감을 감추지 못하였다. 성수가 조금 부족하게 흘러나와도 그 동전구멍을
주먹
으로 치는 불경스런 행동은 상상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단지 부족한 성수는 자신의 불성실한 행동을 반추하게 되어 참회의 기도로 이어지게 된다.이같이 인공적인 생명체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은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06
펀치의 파괴력보다 정확도가 점수따기에 더 유리하므로 잽이나 스트레이트 같이
주먹
을 많이 내는 선수가 이길 확률이 많다는 것. 팔길이가 짧고 유연성이 부족한 대신 큰 것 한방을 노리는 경향이 많은 우리나라 선수들은 컴퓨터채점제에 적응하지 못해 고전하고 있다. 프로야구에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