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d라이브러리
"
제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1612
기술은 밝힐 수 없지만, 열전소자 재료와 구조를 최적화한 게 비결”이라며 “이
제
상용화까지 대규모 임상시험과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만 남겨 둔 상황”이라고 말했다.미국 의료 시장부터 공략 예정김 교수는 이 초고속 무약품 마취기기를 먼저 미국 의료 시장에서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안과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
수학동아
l
201611
때문에 그 아이에 대한 안 좋은 소문이 무척 당황스러울 거예요. 내게 잘해 주다가도 언
제
거짓말을 하고 뒤통수를 칠지 걱정이 될 거고요. 그런데 그거 아세요? 이 사연에서 안 좋은 얘기를 청취자에게 전한 그 친구의 말도 칩 토크랍니다. 그러니 그 친구의 의도를 먼저 살펴보세요. 친하게 지내는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11
있는 방법은 다섯 번째 공준과 관련이 있는 건가요?”“
제
가 빠져나갈 방법은 단 하나.
제
가 달리고 있는 이 직선과 당신이 있는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것이에요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11
연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하네요.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런 연구에 의문을
제
기하기도 합니다. 아직 쥐에게서만 증명됐을 뿐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대규모의 실험을 한다는 겁니다. 더구나 암브로시아는 임상에 참여하는 사람에게 8000달러(약 900만 원)의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
분석했다. 새로운 시뮬레이션에는 황산염 농도의 변화가 추가됐다.논문의
제
1저자인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11
갈까.특히 수입된 동물이 유기되면 토착종을 밀어내고 생태계를 교란 할 위험이 있다. 실
제
로 일본은 1977년 라쿤이 등장하는 어린이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엄청난 성공을 거둔 뒤 수 년 간 매달 1500마리 이상이 애완용으로 수입됐다. 그러나 지나치게 활발한 성격을 감당하지 못한 사람들이 라쿤을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11
3·1 만세운동길까지 거리는 얼마나 될까요? 바닥돌에 새긴 지도의 축척은 1:125입니다. 실
제
125m 길이를 지도에서는 1m로 표시했다는 뜻입니다. 이 점을 이용하면 만세운동길까지 가보지 않고도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겠지요?이번 화에서는 대구 매스 투어의 탄생 배경과 미션 네 가지를 소개했습니다.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
과학동아
l
201611
스무 곳을 선정했다. 각 장소에서 졸참나무(Quercus phellos )를 한 쌍씩 골라 한쪽에만 살충
제
를 뿌린 뒤, 2년간 해충의 수를 조사했다. 또 나무가 호흡한 기체를 측정해 나무에 저장된 탄소량을 추산했다.그 결과 한 지역에서 사는 나무들은 해충이 있든지 없든지 탄소 저장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도시에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11
아니라 인류가 쌓은 과학문명을 재건할 방법까지 담았다.그는 “과학을 공부하는 것과 실
제
삶 사이에 괴리가 크다고 느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했다. 항공사 엔지니어로 늘 무언가를 손으로 만졌던 아버지와 달리, 그는 어렸을 때부터 책에만 파묻힌 공부벌레였다. “과학기술이 삶을 어떻게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11
심지어 화상통화로 이야기해도 근본적인 외로움이 해결되지않았다. 테오 교수팀은 실
제
로 친구와 가족을 자주 만나는 사람일수록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줄어든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특히 학교나 직장에서 다른 사람과 매일 만나는 기회가 없는 사람이라면, 일주일에 적어도 세 번은 일부러라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