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11
실험실에서 난자가 탄생했다. 일본 규슈대 의대 하야시 카쓰히코 연구팀은 배양 접시에서 쥐의 피부 세포를 난자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암컷 쥐의 꼬리에서 피 ... 박사는 현재 이를 대체할 인공 용액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0월 7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11
부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10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브레드 와젤린 천문학 교수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 7년을 주기로 별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별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부분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2002년에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11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의 수학 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발달 과학’ 8월 6
일자
에 밝혔습니다.연구팀은 5세에서 8세 사이 어린이 54명과 이들의 부모 51명에게 4가지 영역의 수학 능력 검사를 했습니다. 짧은 순간에 물건의 개수를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어림수 파악 능력 검사와 정해진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11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 ...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11
환자를 다시 느끼게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중계의학’ 10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미국 피츠버그대 재활의학과 로버트 가운트 교수팀은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뇌에 소형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11
털이 없는 벌거숭이 두더지쥐는 수명이 32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 ...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0월 11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
과학동아
l
201611
엄마의 모유가 아기에게 항체를 줄 뿐만 아니라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의대 아미대 워커 교수팀은 갓 태어난 새끼 쥐를 ... 먹는 신생아도 예방주사를 맞는 효과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학’ 9월 15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
기존 학설과 달리, 초기 지구를 따뜻하게 만든 건 메탄가스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NASA)과 UC리버사이드 공동 연구팀은 지금으로 ...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6
일자
에 발표됐다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11
좋은 동물일수록 크게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영국 왕립학회보B 2013년 6월 16
일자
). 연구팀이 고래와 코끼리, 유인원, 설치류 등 다양한 포유류의 최대 크기와 임신 기간, 새끼의 성장 속도 등을 조사한 결과, 몸무게 대비 더 큰 새끼를 낳고 새끼의 성장 속도가 빠른 종일수록 더 크게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