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09
- 가끔 헷갈릴 정도다. 전류가 도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는 이야기는 사실 전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따라 전자의 전하량을 그냥 e로 적기도 하고(e0). 모든 게 프랭클린 때문이다. 프랭클린이 전자의 전하량을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09
- 말의 걷는 모습을 관찰했다. 일정한 시간차에 따라 왼쪽 뒷발, 왼쪽 앞발, 오른쪽 뒷발, 오른쪽 앞발을 딛는 순서를 반복해 걸었다. 걸음걸이 주기를 1로 봤을 때, 발을 디딘 뒤 그 다음 발을 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4분의 1이다. 즉 일정한 박자에 따라 일정한 순서대로 걷는 셈이다.이 수학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09
- 입체안경을 디스플레이에 장착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에 다른 영상이 보이도록 만든 겁니다. 이를 다시점 3D 디스플레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도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왼쪽 그림 내용을 장황하게 설명한다).F 너무 깁니다. 사회자님, 뭐하십니까. 왜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09
- 칸에 270을 입력해 보면 캐릭터가 아래로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어요. 0, 90, 180, 270은 각각 오른쪽, 위쪽, 왼쪽,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하고, 화면을 클릭한 곳에서는 또 다른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지는 게임을 만들었어요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또 다른 기준◀ ISO를 100으로 설정해 찍은 사진(왼쪽)과, 1600으로 설정해 찍은 사진(오른쪽).해상도 말고도 시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또 있어요. 바로 ‘감광도’예요. 감광도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를 말해요. 디지털 카메라로 예를 들면 ‘ISO’ 수치와 관련이 있지요.사진을 찍을 때 ISO를 100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09
- 순서대로 동전이든 지폐든 마구잡이로 세는 방법이다. 이는 주어진 구간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지나가면서 만나는 함수 값을 다 더하는 리만 적분과 같다. 또 다른 방법은 1000원짜리 12장, 1만 원짜리 20장, 5만 원짜리 8장 등으로 분류한 뒤, 각 금액에 장 수를 곱해 더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지폐의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09
- 길을 열어줬다. 절도범은 OBD를 해킹해 스마트키를 복제한 뒤 복제한 키로 차 문을 열었다.오른쪽 하단의 QR코드에 연결된 영상에 정답이 숨어있다. 정답은 2번이다. 2번처럼 도난 당한 고급차가 유럽에서만 300여 대에 달한다. 심지어 전문 해커들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유튜브엔 BMW의 스마트키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09
- 논문에서 정액 단백질이 오래된 ‘성 갈등(Sexual Conflict)’의 역사를 보여준다고 해석했다(오른쪽 표 참조).암컷은 당하고만 있었나그런데 암컷이 수컷의 공격에 일방적으로 당하고만 있었을까. 그럴 리 없다. 암컷은 정액 단백질의 이기적인 행동을 결코 가만 놔두지 않았다. 정액 단백질을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09
- 보는 관점이다. 이에 따르면, 과거나 현재나 미래는 공간에서 왼쪽과 가운데와 오른쪽이 나란히 있는 것처럼 모두 존재108하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나’는 그 중 한 순간만을 인지하게 된다.이와 대비되는 관점이 ‘현재주의’다. 과거는 지나가 버린 것일 뿐 아니라 기억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고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09
- 구조물에서 기본이 되는 한 조각을 말한다. 하트 교수의 작품 ‘H 퍼즐’(왼쪽 사진)은 오른쪽 기본 패턴(모듈) 30개로 만든 작품이다. 그는 기리가미의 기본 원칙에 따라 아주 얇은 나무 판자에 기본 패턴을 그리고, 레이저로 오려서 끼우는 방식으로만 작품을 완성했다.하트 교수처럼 한 가지 기본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