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중"(으)로 총 1,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역학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405
- 변함이 없었다. 3년 만에 쇼클리 밑에 있던 연구원 8명이 줄줄이 떠났다. 그 중에는 나중에 인텔을 차린 노이스와 무어도 있었다. 쇼클리의 인간적인 면에 대해 나쁜 평가가 많았지만, 어쨌든 실리콘밸리에 실리콘을 가져온 사람이 쇼클리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우리가 쓰는 모든 디지털 ...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404
- 원시태양에 가까운 따뜻한 공간에서는 얼음이 잘 만들어지지 않았고, 암석질의 물질이 나중에야 서로 결합하게 됐다. 행성의 성장은 더디게 진행됐고, 결국 작은 암석행성들이 만들어졌다. 지구와 화성은 바로 이 때 함께 태어난 암석행성 형제다.화성과 지구가 태어나던 46억 년 전, 태양계의 행성이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04
- 모르는 말씀이다. 이미 수천 만 년 전에 식물이 발명한 방법이다. 아주 작은 씨앗 하나에 나중에 꽃이 되고, 거목이 될 수많은 ‘정보’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반면 핸드폰 칩을 땅에 심고 물을 줬더니 여러 개의 예쁜 스마트폰이 달리더라는 얘기는 아직 들어본 적이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04
- 되니? 공룡이 갑자기 말랑말랑하고 달콤한 새로운 꽃식물을 맛 봤을 때의 그 환희가. 나중에 미국의 고생물학자 스콧 샘슨 박사가 ‘공룡 오디세이’에서 정확히 짚지. “꽃 피는 식물은 초식공룡에게 꿈의 먹이였을 것이다. 꽃 피는 식물이 초식공룡에게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풍부한 에너지원을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04
- 한다. 포화지방이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한다. 그런데 꽃은 먼저 포화지방을 만들고 나중에 일부를 불포화지방으로 바꾼다. 왜 굳이 한번 더 수고해 에너지 적은 불포화지방을 만들까. 이유가 있다. 불포화지방은 포화지방보다 녹는점이 낮아 추운 곳에서도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싹을 틔울 때 액체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04
- 잘 넘기지 못하면 마음속에 나쁜 엄마 심상만 크게 자리를 잡게 된다”면서 “결국 나중에 커서 편집적 성향이 지속돼 끊임없이 타인의 의도를 의심하고 미워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종종 타인에게 끔찍한 일을 저지르지만, 스스로는 자신을 박해하던 대상에게 정당한 보복을 한 것이라고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03
- 없어요. 영화 ‘국가대표’로 잘 알려진 스키점프에서 메달을 딸지 모른다고요? 결과는 나중에 생각하고, 스키 박사인 저 눈표범이 스키와 스키점프를 소개하죠.스키도 종목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달라요. 스키 플레이트가 가장 크고 넓은 종목은 스키점프예요. 왜 크고 넓은 플레이트를 ...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03
- 동원해 안전한 핵폐기물 처분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방안이 정부의 승인을 받았고, 나중에는 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최근 매립 처분 기술이 발달하면서 반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스웨덴 환경단체인 MKG는 홈페이지에서 “심지층처분 방식이 원래 계획만큼 안전한 것이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03
- 스탭세포는 쥐 태아뿐만 아니라 태반으로까지 분화했다. 배아줄기세포는 나중에 태반이 되는 배반포 외부 세포로는 분화하지 못한다. 스탭세포가 다른 그 어떤 줄기세포보다 분화능력이 한 수 위라는 얘기다.이는 수백 년에 걸친 생물세포학의 역사를 뒤집을 만큼 획기적이다. 이전에 만들었던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02
- 있다.게다가 둥지를 떠난 뒤 첫 겨울이 까치에게는 굉장히 혹독한 기간이다. 이들 중 나중에 생존한 것으로 확인되는 개체는 서울대에서 한 해에 두세 마리 이하다. 물론 새끼들이 둥지를 떠난 뒤에 먼 곳까지 이동을 했을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가 발견된 것은 1998년 이래 딱 두 번 있었을 뿐이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