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2,8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12
- 전공 교수와 김은주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 김정희 연구원팀의 공동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인 교수님과는 다른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자리에서 ‘엑소좀’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독성을 평가 해 보고 싶다는 아이디어를 냈는데, 인 교수님께서 관심을 ... ...
- [과학뉴스] 꿀꺽 삼킨 건전지를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해요.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영국 셰필드대학, 일본 도교공업대학 등의 공동 연구팀이 수술을 하지 않고도 몸속 건전지를 찾아서 밖으로 꺼내 주는 초소형 로봇을 개발했어요.이 로봇은 소시지를 만들 때 쓰는 식용 껍질에 둘러싸여 있어요. 사람이 로봇을 삼키면 위 속에서 껍질은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12
- 설득했죠.” 당시 남한측 이춘근 단장(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북측 단장이 백두산 남북공동연구를 추진하자는 데 정식으로 합의를 했다. 하지만 이 역시 이듬해 1월 북한이 핵실험을 하면서 무산됐다.“북한과의 협력이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분화 연구가 북한에게도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12
- 연구 결과는 이보다 더 충격적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런던대, 브라질 상파울루대 등 공동 연구팀은 카푸친 원숭이의 두 가지 특이한 행동을 보고했다. 카푸친 원숭이가 의도적으로 돌과 돌을 부딪치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한다는 것, 또 이런 행위의 결과로 인류의 구석기 때 나온 뗀석기인 올도완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12
- 한국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은 환경이 열악하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아이디어가 있어도 제품을 개발하기까지 많은 난관을 거쳐야 한다. 인력과 기술, 자본모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가상설계센터는 고군분투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특급 도우미’가 돼 주고 있다.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12
- 이것이 산성비로 내린다.구조E 마그마 방지난 4월 북한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지진파를 이용해 백두산 아래에 서울시의 2배가 넘는 면적(1256km2)을 가진 공간이 있고, 그 속에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논란 지진파 상으로 물성이 다른 부분을 모두 마그마 방으로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간접흡연의 지표, NNAL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주목한 유해 물질은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11
-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11
- 차이가 엄청날 것 같습니다.김낙완 기존 어뢰는 최고 속도가 시속 50km 정도입니다. 초공동어뢰는 최고 시속 36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김다민 최근 조선업이 불황이다 보니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데요. 교수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김낙완 조선해양산업은 대규모 고부가가치산업입니다. 그렇기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11
- 냈고, 기여한 바가 크기 때문이다. 두 개의 논문 중 하나는 코스털리츠 교수와 공동 연구 논문이고, 나머지 한 개의 논문이 홀데인 교수의 것이다.2016년 노벨 물리학상 파헤치기우리가 사는 세계는 3차원 공간이다. 얇은 종이나, 가느다란 실도 실제로는 부피가 있는 3차원 도형이다. 평범한 3차원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