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스페셜
"
국립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응용생화학 박사 1987년~1994년 미국
국립
보건원 암연구소 연구원 1994년~2007년 미국
국립
보건원 암연구소 종신 수석연구원/암세포신호전달 연구실 실장 2007년~현재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의과대학교 겸임교수 2007년~현재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좌교수 2007년~현재 이길여암당뇨연구원 원장 ※ 이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연구원 1982년~198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센터 선임연구원 1987년~1988년 미국
국립
보건연구소(NIH) 초빙연구원 1988년~1993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1993년~1999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1997년~2004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舊 생명공학연구소)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지는 20년이 돼 간다. 젊은 시절 업적으로 노벨상을 타고 유명인사가 된 대가다. 그는
국립
재생에너지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는데 관심도 없는 풍력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연구소에 탐 알두스라는 입자물리학자가 들어온다. 탐은 인류의 에너지 위기를 해결할 유일한 방안을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또 인슐린 민감성도 올라가 당뇨병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과학저널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3월 5일자 온라인판에는 오메가3지방산의 또 다른 효과인 항고혈압 작용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혈압이 높은 사람들이 오메가3지방산을 섭취하면 혈압이 떨어진다는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명 가운데 한명이 걸리는 희귀질환으로 전세계 환자가 200여명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미
국립
과학원회보’ 10월 9일자에는 로나파닙(lonafarnib)이라는 약물이 조로증에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실렸다. 노화가 급속하게 진행돼 평균 13세에 사망하는 이 병의 원인이 밝혀진 건 2003년으로 LMNA라는 유전자의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즉 아이가 똑똑해진다는 것만은 모유의 가장 확실한 효과인 셈이다. 2007년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는 모유가 아이의 인지력을 높여주는 메커니즘이 제안됐다. 즉 모유에 들어있는 불포화지방산인 도코사헥사에노익산(DHA)과 아라키돈산(AA)이 FADS2라는 유전자를 조절해 뇌의 뉴런 발달에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77년 우즈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조지 폭스(현재 미국 휴스턴대 교수)와 함께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 한편은 글자 그대로 ‘생물학 교과서를 완전히 다시 쓰게’ 만들었다. ●강사 권유에 생물학에 뛰어든 물리학도 1928년 미국 뉴욕주 시라쿠스에서 태어난 우즈는 독특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밝혀냈는데, 이를 이용해 숙주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했다. 1963년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 자리를 잡은 샛킨은 여러 인간바이러스를 연구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레오바이러스였다. 1968년 로슈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샛킨은 레오바이러스 게놈이 RNA이중나선 열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98.7%나 똑같은데 왜 이렇게 차이가 나나?”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2002년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한 논문을 보면 이 질문의 전제가 틀렸다. 게놈을 전반적으로 고려했을 때(DNA 삽입과 삭제를 포함) 사람과 침팬지는 95% 정도 일치한다는 것. 이 논문을 쓴 로이 브리튼(Roy Britten)이 올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마친 뒤 박사후과정을 하면서 염색체 구조에 관심을 갖게 된다. 1961년 36세에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에 자리를 잡은 밀러는 전자현미경으로 DNA가닥에서 유전자가 전사되는 장면을 포착하는 시도를 한다. 1969년 5월 23일자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표지는 그가 동료 바바라 비티와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