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물론 학부만 졸업하고 취직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지식의 전문성을 위해 상당수의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해 한 분야를 더 깊게 공부하고 있지.Q&A 식단 짜는 법을 배우나요?그렇지 않아. 식품영양학과에서 건강한 식생활 또는 식품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배운다면,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인(sin), 코사인(cos), 탄젠트(tan)라는 기호는 또 누가 만든 걸까?삼각비의 시작현대의 학생들에게도 어렵기만 한 삼각비지만, 이 삼각비는 놀랍게도 고대에서부터 만들어져 사용돼 왔다. 삼각비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가장 오래된 학자는 기원전 15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 ...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청년들이 게임 회사를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고,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도서를 지원하는 작은 책방 사업도 펼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국내 최초로 컴퓨터박물관을 제주도에 세웠다. 이곳에 가면 전세계에 6대밖에 없는 애플사 최초의 컴퓨터 ‘애플 I’도 볼 수 있다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받는다면 낭비 아닙니까. 그 돈이면 차라리 새로운 경험 하나를 해 보겠네요.만약 어린 학생이 근거도 없는 지문 적성검사 결과를 믿고 그쪽으로 진로를 잡아서 노력한다면 어떡하나요. 운이 좋아서 잘 풀리면 다행이겠지만, 적성에 안 맞는 공부나 일을 억지로 하게 된다면 얼마나 괴로울까요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자료만 잘 분석하면 돈을 딸 수 있다고요.청소년을 유혹하는 ‘도박사의 오류’많은 학생들이 불법 스포츠 내기를 할 때 통계 자료에 근거해 나름대로 계산을 해서 돈을 건다. 스포츠 내기를 일종의 머리싸움으로 여기며, 자신의 예측이 들어맞았을 때 쾌감을 느끼기도 한다.예를 들어 1위를 하고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니라 한국 정부에 대한 호소이기도 했다.네어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직 대신 왜 과학자가 되어야 하느냐”고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네어 교수는 웃으며 담담하게 말했다.“과학자는 아무도 몰랐던 지식을 찾아내고, 새로운 걸 만들어낼 수 있죠.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준이 무척 높았지만, 참석자는 중학생부터 대학생, 성인까지 다양했다. 한 고등학생 독자가 “운석이 어디에서 왔는지 어떻게 분석하나”고 질문했다. 변 교수는 “운석이 지구 중력 영향 때문에 휜 궤도를 보정하고 지구와 부딪친 속도와 각도를 구하면 태양계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있다”고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호기심을 우선으로 연구하는 모습을 본받고 싶다”고 말했다.그레이더 교수는 한국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사실을 배우는 게 즐겁다면 과학자가 최고의 직업”이라고 전한다. 단, ‘내가 궁금한 질문’을 파고들라고 조언한다. “과학계에서 미래의 유망한 분야, 일명 핫한 주제를 미리 아는 것은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여기 프로그램 중 눈에 띄는 것은 게임 개발을 통해서 수학을 가르치는 거예요. 중고등학생들이 게임의 규칙을 짜고,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그때 필요한 수학을 배우는 거죠. ‘앵그리 버드’를 이용해서 수학과 물리를 가르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죠? ... ...
- “교실에 과학책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선물해 보는 게 어떨까. 요즘에는 서점 수가 줄어 주위에서 책을 보기도 쉽지 않다. 학생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교실에 항상 놓여 있는 과학책은 균형 잡힌 독서를 도와주며,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는 문화의 싹이 될 것이다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