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걸 뜻해요. 폭염에 시달리는 노약자의 수도 눈에 띄게 늘고 있어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폭염에 시달린 노약자의 수는 2000년에 비해 1억 2500만 명 가까이 증가했어요. 기후변화를 막지 못한다면 2050년 10억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지요. 한편, 더워진 기후는 전염병을 확산시키고 ...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경북 포항에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어요. 이번 지진은 지난해 발생한 경주 지진(규모 5.8)에 이어 기상 관측 이래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이에요. 하지만 20일까지 확인된 부상자는 84명으로, 경주 지진보다 3배 이상 많았지요. 또 주택 파괴는 5100여 건에 달했고, 학교에도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시 해 보고!‘내 아이디어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컸던 오리엔테이션 때와는 달리, 결과물 발표 자리는 축제 분위기였어요. 재미있는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않기로 약속해요! 헬로키티 생일파티에 다녀왔어요! (도예진 기자·수원 대평초 2학년)지난 11월 1일, 헬로키티 생일파티에 초대받아 남산 서울타워 ‘헬로키티 아일랜드’에 다녀왔어요. 헬로키티 생일파티는 처음이라 정말 설렜어요. 남산타워에 도착해서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쎈토이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발광 생물이 계속 빛을 내게 하려면 때마다 먹이를 주고 노폐물을 제거해야 하거든요. 지난 12월에 처음 시연했을 때는 3일 밖에 지속되지 못했어요. 현재 조명의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뤄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Part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앞으로도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 용도에 대한 논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여요. 지난 1년간 여러분과 함께 했던 공룡의 세계탐험을 마쳐야 할 시간이에요. 이야기는 끝나지만, 발굴 현장에서 공룡을 만나는 과학자들의 연구는 계속 이어질 거예요. 앞으로 새롭게 발견되는 공룡 ...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KAIST)의 ‘LINK’와 서울대학교의 ‘SUNSAT-1’, ‘SUNSAT-1b’가 참여했답니다. 이중 LINK는 지난 4월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한 달 정도 머물렀다가 5월 18일쯤에 궤도에 진입했어요. 이후 1시간 만에 호주에 있는 지상국과 교신하는 데 성공했지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50기 중 우주로 발사된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불리게 되었지요. 캔위성은 미국 모어헤드주립대학교의 로버트 트윅 교수가 지난 1998년 교육용으로 개발했어요. 상공 수백 미터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는 짧은 시간 동안 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요. 캔을 날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발사체를 대신해 기구를 캔에 달아 띄우거나,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것은 아니에요. 최근 일본에 외래 붉은불개미가 나타났거든요.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지난 7월부터 발견 가능성이 높은 항구를 1, 2주마다 조사했지요. 정부는 사건 발생 다음날 바로 최초 발견지역 부근 100m에 있는 컨테이너를 전부 소독했어요.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 연구에서 부산은 외래 붉은불개미가 정착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됐지요. 지난 3월, 세계 40여 개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많은 생물들이 이동을 하면서 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어요. 생태계에 교란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