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중으로 치솟는
종이
쇼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종이
기둥이 다 타버리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종이
가 다 타기 직전 반드시 남은
종이
기둥은 떠오른다.빙글빙글 씨앗 헬리콥■ 왜 그럴까?!공기 중에 놓은 헬리콥터는 자체 무게와 날개의 불균형으로 인해 돌면서 아래로 떨어진다. 그런데 이 실험의 경우 가스레인지에 의해 공기가 데워져 ... ...
물의 표면장력 정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수 있다. 마치 물 표면은 탄력있는 막처럼 작용하는 것이다.물 위에서 빙글빙글 맴도는
종이
뱀■왜 그럴까?이 실험은 세제 용액과 물의 표면장력 차이를 이용해 물 위에서 빙글빙글 도는 뱀을 만들어본 것이다. 뱀의 꼬리 부분에 떨어뜨린 세제가 물 위로 퍼져나가면서 주변 물과 섞여 표면 장력이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인쇄되는 줄의 간격에 따라 쪼갠다. 그런 후 이들을 한줄씩 번갈아 가며 뽑아내 한
종이
에 인쇄하는 것이다.본지 표지의 경우, 렌티큘러 렌즈는 1인치(2.54cm)에 72개가 있고(렌즈 두께가 약 0.35mm), 각 렌즈 아래에 인쇄되는 그림의 줄수는 18개다. 따라서 18장의 그림이 필요하고, 0.35mm/18줄이 한줄의 폭이 ... ...
맞붙은 그릇 속에 열쇠 숨기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그릇 2개의 내부를 뜨겁게 한 후 젖은
종이
로 맞붙여본다. 그러면 이 그릇은 쉽게 떼어질까. 두사람이 양쪽에서 그릇을 잡아 당겨보자.어느날 밤 슬기는 꿈 속에서 꽃미남 원빈을 만나 기쁨에 젖어있다. 그런데 갑자기 괴한들이 등장해 원빈을 납치해간다. 슬기는 원빈을 찾아 헤매다가 마침 모험이를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용해 셔터를 누를 때에는 누르는 순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 앞을 검은색
종이
로 잠시 2-3초간 가린다. 그러면 셔터를 누른 다음 2-3초 후부터 본격적인 촬영이 시작된다.점상 촬영은 천체사진 촬영의 가장 기본이면서 순간적인 현상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개의 경우 15초보다 더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쬐고 있어방사선의 투과력은 알파선, 베타선, X선, 감마선 순으로 커진다. 베타선은
종이
를 뚫지만 알루미늄판은 뚫지 못한다. 그러나 감마선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로 막아야 할 정도다. 투과력이 큰 방사선일수록 에너지가 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이해하면 된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지구에서 ... ...
탁구공으로 묘기 부리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표면장력의 효과가 더해져 물은 쏟아지지 않는다.이같은 실험은 대개 탁구공 대신
종이
로 한다. 하지만 탁구공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날개 부분을 입으로 불면 탁구공은 기압과 표면 장력의 힘으로 떨어지지 않고 도는 모습 까지 연출할 수 있다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다소사가 개발한 첨단 항공기 제작 소프트웨어 카티아(CATIA)로 설계됐다. 카티아는
종이
로 된 설계도 대신 컴퓨터로 모든 작업이 가능하다. 목표물을 찾아가는 미사일전투기의 성능을 가늠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당연히 전투력이다. 전투기를 조정하는 슈팅 게임을 한다고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가정용 전자레인지로 구워내면 3분이 걸린다.자판기의 생명은 시간이다. 커피자판기에서
종이
컵이 뚝 떨어진 후 커피가 다 나오기까지의 10초도 길게 느껴진다. 때문에 팝콘자판기가 성공하려면 팝콘이 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을 줄여야 한다. 그래서 자판기의 전자레인지는 가정용보다 마이크로파의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4차원 이상의 추가적인 차원은 매우 촘촘하게 말려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2차원의
종이
를 돌돌 만 다음, 조금 멀리 떨어져 본다면 이것은 1차원처럼 보일 것이다.고차원 그리고 여분의 차원을 돌돌 만다는 아이디어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19년 독일의 물리학자 칼루자가 일반상대론과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