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시 교배시키면 2대에는 황색 콩과 녹색 콩이 3대 1의 비율로 나타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습니다. 미리 말해두지만 개의 털 색깔이 완두콩처럼 단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유사한 경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멘델이 주목했던 것은 대립 형질이었습니다. 개 역시 세포마다 39개의 염색체 쌍을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송신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포스트 ISS 시대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용해 원하는 뇌 영역에 채널 로돕신-2를 발현시켰습니다.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실험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유전자로,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마치 레고처럼 원하는 유전자를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채널 로돕신-2의 유전자를 가진 플라스미드를 원하는 뇌 부위에 넣어, 뉴런의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새처럼 날개가 관절처럼 움직이는 비행 기계를 고안했다. 그가 이것으로 실제 비행 실험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는 곧 인간의 가슴 근육의 힘만으로는 날개를 움직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는 대안으로 바람을 이용했다. 날개의 형태를 점점 단순화시켜서 사람의 몸 바로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교수는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와 같은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동물의 병든 간 주변에 이식하면 혈관이 연결되면서 실제로 간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용 쥐를 이용해 증명했다. ‘바이오 프린팅’ 기술도 완벽한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는 후보 기술로 꼽힌다. 3D프린터로 살아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태로 찍어 장기 모습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을 알고, 자멸 기작을 계속 작동시키면서도 유전자 변이로 인해 죽지 못했습니다. 이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완전히 죽지 않은 세포(undead cells)의 주변 세포 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완전히 죽지않은 세포가 세포 분열을 지시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분비했고, 이에 주변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도록 ‘세포 정밀 패터닝 장치(Guide Slit)’도 고안했다. 신 연구원은 “바이오칩 같은 실험 도구를 직접 개발한 경험이 없었던 만큼 시행착오를 수 없이 겪었다”며 “그럴 때마다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고민했고, 결국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양한 경험이 나의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때문에 전체를 엉키게 만드는 비틀림이 꼬임과 다른 방향으로 많아지는 거예요. 이는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수학적으로도 계산할 수 있어요. DNA는 이 같은 원리로 꼬여 이중 나선 구조를 이룹니다. 아이디 weux082690의 주장에 따르면 슬링키도 고리수=꼬임수+비틀림수를 만족하기 위해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었죠. 그러던 2016년 10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로버트 가운트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로봇팔의 촉감을 사람에게 전달하는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