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제2회 국제수중음향학회에서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바닷속 잡음이 증가해 고래 같은
생물
이 짝짓기 활동에 방해를 받아 생태계가 변할 수 있다”며 “현재 NOAA와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합성
생물
학이 주목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생명체도 창조할 수 있는 시대를 열어줄 열쇠기 때문이다. 합성
생물
학은 이론적으로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막 ... 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깨먹었으며, 넓적한 주둥이와 얇은 이빨을 가진 모우라수쿠스는 펠리칸처럼 물속의 작은
생물
들을 건져 먹었다. 먹는 먹이가 서로 달라서 서식지를 사이좋게 공유할 수 있었던 거다.아름다운 과거를 뒤로 하고악어는 지난 2억 5000만 년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2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고문’한다고 할까. 이런 전략은 ‘유의확률 해킹(p-hacking)’이라고 부르며, 지난 3월
생물
학 학술지‘플로스 바이올로지’에서 실태를 다루기도 했다.2014년 2월, ‘네이처’가 유의확률 문제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2015년 초에는 심리학 학술지 ‘기초 및 응용 사회심리학’이 유의확률 사용을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차이가 컸다.학대, 반복되는 폭력 이끄는 뫼비우스의 띠자녀살해라는 비정상적인 행동의
생물
학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현장에서 수사하는 경찰과 범죄심리 전문가들은 자녀나 부모를 죽이는 반인륜적 행위의 근원에 공통적으로 ‘학대 경험’이 자리 잡고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생물
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학부 과정에서는 화학과
생물
학을 중점적으로 배우지만 자연대와는 달리 열, 물질 전달, 반응공학 등 공학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다릅니다.김현수: 전공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황석연: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 ...
[숲이야기] 두
생물
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모르고요. 지금처럼 지의류를 마구잡이로 채취하면 언젠가는 책에서나 볼 수 있는
생물
이 되고 말 거예요.지의류의 약점은 하나 더 있어요. 바로 대기오염에 매우 약하다는 거예요. 지의류는 뿌리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 전체로 수분과 가스를 교환해요. 이 때문에 대기의 오염에 굉장히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체내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 ... wnt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 비만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생물
학 학술지 ‘분자세포’ 4월 14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나눈 건 Y염색체 유전자?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Y염색체가 엄마인 현생인류 여성에게서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영국 레딩대 진화
생물
학과 마크 페이젤 연구원은 “현생인류에서 네안데르탈인의 X염색체 유전자만 발견되는 이유를 이번 연구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4월 7일자에 실렸다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박사후과정(포닥)을 예전엔 2~3년이면 마쳤지만, 지금은 5~10년씩 하는 사람도 많다. 이강수
생물
학연구정보센터(BRIC) 실장은 “생명과학자들 사이에 ‘만년 포닥’이라는 말이 유행한다”고 했다. 임시직을 평생 전전하는 과학자가 늘고 있다는 뜻이다.단기계약의 저질 일자리도 덩달아 늘었다.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