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된다.논문의 제1저자인 이병욱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은 “뇌에서
발견
된 최소지배집합은 뇌 전체 구역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약 7% 수준이라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며 “또 이들 최소지배집합은 쉽게 망가지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흔히 뇌의 신경연결망은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찾아내는 효과도 있다. 이해한 줄 알았던 개념도 설명을 하다보면 횡설수설하는 자신을
발견
하게 된다. 3 흥미로운 활동으로 시작하라 문제를 푸는 것만이 수학 공부는 아니다. 수학과 관련된 동영상을 보는 것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재밌는 함수들을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과학을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논란은 그간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미생물의 대사 작용에서 생성되는 메탄이 화성에서
발견
된다면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커진다. 사실 큐리오시티가 활동하기 전까지는 메탄의 존재가 확실치 않았다. 2003년 유럽우주국(ESA)이 발사한 화성 궤도선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에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자기수용감각의 존재가 규명된 것은 2015년이다. 이때 자기수용감각 수용체가 처음
발견
됐다. 김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은 신경세포의 수와 신경망 지도가 밝혀져 있어 이를 이용해 자기수용감각을 연구하기 좋다”고 말했다. 미세한 움직임 조절하는 자기수용감각 예쁜꼬마선충은 뱀처럼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n!+(n-1)! 보다 더 큰 하한 n!+(n-1)!+(n-2)!+n-3을 찾아 증명했다는 걸 게시판 질문의 댓글에서
발견
합니다. 하한은 초순열 길이의 최솟값을 뜻하므로 값이 클수록 초순열의 실제 길이에 가깝습니다. 허스턴은 이 내용을 잘 정리해서 각종 수열을 사전처럼 찾기 쉽게 정리해 놓은 온라인 홈페이지 OEIS에 ... ...
수학으로 만든 장난감들의 사연 토이스토리4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우리를 애타게 찾고 있을 거야. 그런데 길을 잃어 헤매던 도중 어느 작은 골동품가게를
발견
했어. 여기서 보핍이라는 옛 친구를 만났는데, 보핍은 우리에게 장난감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다소 철학적인 이야기를 해주더라고. 보핍이랑 말하다 보니 새로운 생각이 들더라. 이제 우리가 왜 돌아왔는지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유산균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데, 아버지와 함께 강연에도 참석했어요. 유산균
발견
의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었어요. 또 직접 요거트를 만들기도 했지요. 그리고 기사도 썼답니다. 아버지와 즐거운 추억을 쌓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어요. 은 우리 가족을 똘똘 뭉치게 해준답니다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등장하고,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질 정도로 친근하지. 하지만 백상아리는 지금까지
발견
된 상어 510종 중 하나일 뿐이야. 나와 이웃들을 소개할게!가장 얼굴이 긴 상어는? ☞톱상어 톱상어는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이빨이 달린 주둥이가 인상적이다. 주둥이는 원래 모래 바닥에 숨은 먹이를 찾는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동안 조사했어요. 그 결과 남획으로 상어의 수가 줄어든 곳에서 초식 어류도 줄어든 것을
발견
했지요. 상어가 줄어 도미와 같은 중간 포식자가 늘어나자, 이들의 먹이인 파랑비늘돔과 같은 초식 어류가 줄어든 거예요. 이런 초식 어류는 식물인 조류를 먹는데, 조류는 산호가 자라는 암초를 두고 ... ...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광년까지 넓은 영역에서 먼지가 생성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황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
된 현상으로 초신성 주변 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우주먼지 알갱이의 생성 비밀을 풀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천체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