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일제히 폴을 쳐다봤다. 그런데….“으악! 다 나잖아?”수십 명의 폴이 폴의 목소리에
반응
하듯이 일어나 폴에게 점점 다가왔다. 이 기괴한 광경에 폴은 온몸이 덜덜 떨려 왔다. 주변을 둘러보니 바로 옆에 폴리스가 누워 있었고, 피타가 폴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폴들에게 전기를 쏘고 있었다. 하지만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쥔 팔의 방향에서 앞쪽으로 공을 치는 방법.둘 타구의 크기는 정육면체로 정한다!탁구는
반응
속도가 빠른 운동이기 때문에 힘 조절이 필수다. 공을 주고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1초 정도로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타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타구의 크기와 몸의 회전 각도를 결정해야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달궜다. 동영상을 접한 국내 수학 교사들은 물론, 러시아, 핀란드 등 해외 교사들의
반응
도 뜨거웠다.물론 기존에도 정다면체의 순환을 부분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구들은 많이 있었다. 하지만 정사면체로 시작해 다섯 단계를 거쳐 다시 정사면체로 돌아오는 것과 같은 정다면체의 순환을 한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특이천체가 발견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별은 태양처럼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
을 에너지원으로 하면서 빛나는 천체이므로 전파 영역에서는 빛(전자기파)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니 전파 영역에서 많은 빛이 발생하는 천체란 매우 신비한 존재였을 것이다.1962년 미국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감지할 수 있는 빛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자연계의 4대 힘 중 오로지 중력과만
반응
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물리학자들은 왜 이런 괴상한 암흑광자를 고민하게 된 걸까. 암흑광자가 우주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암흑의 힘(dark force)’의 열쇠일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더 깊게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하면 빛을 이용해 특정한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
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지도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뇌에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찾지 못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장유형에 따라 음식이나 약물을 섭취할 때 다르게
반응
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소장 내벽에 정착해 살고 있는 박테리아(녹색)의 모습.] 식단을 보면 장유형 추측할 수 있어5개월 뒤인 2011년 10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는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필요하다. 포르말린처럼 박제를 만들 때 활용되는 화학약품을 쓰면 단백질이 약품과
반응
해 구조나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연구진은 영하 196℃, 2000기압이 넘는 고압에서 순간적으로 동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시료 안에 들어있는 수분이 결정으로 변하는 것도 막을 수 있어 거의 원상태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뇌의 섬엽은 화난 얼굴이나 역겨운 대상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
하는 뇌 부위로 알려져 있다. 실험 대상에게 섬엽의 활동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스스로 섬엽의 활동을 높이는 훈련을 계속했더니 놀랍게도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됐다. 이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료전지, 태양전지, 리튬이온 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산화 환원
반응
을 이용한다는 핵심은 같지만 쓰이는 재료나 기술 등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그러다 보니 연구실 회의를 하면 각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준다. 성 교수는 연구실의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