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자동차 바퀴에 깔려도 살아남는 철갑 딱정벌레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1170t(톤)의 무게를 견디는 셈이지.10월 21일, 미국 어바인캘리포니아대학교와 퍼듀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철갑 딱정벌레가 어마어마한 무게를 견디는 비결을 밝혔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고해상도 현미경으로 철갑 딱정벌레의 날개의 덮개인 딱지날개의 단면을 관찰하고,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찍은 ... ...
- [탐험대학] 날아라! 로켓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본 대원들은 다음에는 더 멋진 로켓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답니다. ●탐험대학이란?탐험대학은 청소년들이 과학의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탐험을 기획하고 체험하는 교육 프로젝트로, 벤처기부펀드인 C프로그램이 함께합니다. 홈페이지 ... ...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상이 이뤄져요.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로저 펜로즈 교수와 블랙홀을 찾아낸 미국 로스앤젤레스 물리천문학부 안드레아 게즈 교수,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 라인하르트 겐첼 교수가 받았어요.올해를 비롯해 지난 4년 동안 천체물리학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사망 원인은 사망자들이 기존에 앓고 있던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이었지요. 한림대학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독감 백신 주사는 생후 6개월인 영아도 맞을 수 있을 만큼 안전이 검증된 편”이라며,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조사 결과를 믿어도 된다”고 전했어요.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셀시우스는 1701년 11월 27일 스웨덴 웁살라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1730년부터 웁살라대학교의 교수로 지내면서 1741년, 천문대를 건설하였고, 북극의 오로라를 관측하는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지요. 하지만 그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긴 건 온도 체계를 만든 일이었어요.17~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온도를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인공지능이 예술의 영역에도 기세를 떨치고 있는 거예요.광주과학기술원(GIST) AI대학원 안창욱 교수는 인공지능 작곡가 ‘이봄(EvoM)’을 개발했어요. 이봄은 더 좋은 답을 찾아 발전하는 알고리즘인 ‘진화 탐색(Evolutionary search)’에 ‘음악(music)’을 합친 말로, 진화하는 음악(Evolutionary Music)이라는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고대인들이 지상화를 그린 이유에 대한 단서를 찾고 있어요. 2018년에는 일본 야마가타대학교 연구팀이, 2019년에는 이슬라 연구원팀이 각각 인공지능과 드론을 이용해 새로운 지상화 백여 점을 더 발견했지요. 연구원들은 이곳에서 지상화 천여 점을 더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연구팀은 초백색 페인트가 에어컨을 대신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해요. 미국 퍼듀대학교 기계공학과 쉬린 루안 교수팀은 “건물 외벽에 이 페인트를 바르면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에어컨 같은 냉각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며, “나아가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 ...
- 베토벤 탄생 250주년 내 뒤를 이을 작곡가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빠바바-밤~! 삐-비비-빅-빅! YO! YEAH!”나는야 독일의 음악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 올해는 내가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해야. 그런데 웬 디제잉이냐고? 자축 공연이랄까? 한국의 과학자가 나를 최고의 작곡가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거든! 내게 도전장을 내미는 작곡가들도 있고 말이지. 그게 누구냐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 있다 https://youtu.be/aMYlrfbDUJw ●인터뷰 "창의성은 연결이에요!"_ 박주용(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Q네트워크 이론으로 작곡가를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기존에 없던 새로운 것은 모두 창의적인 걸까요? 하지만, 키보드를 무작위로 쳐서 쓴 글이 창의적이지 않은 것처럼 아무렇게나 찍은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