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와 인류] 인류는 기후 변화에 적응한 덕에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지난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지금의 인류가 오랜 시간 기후 변화에 적응해 탄생했다는 연구가 나왔다.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 것을 증명했다”며 “인류가 지금의 우리일 수 있는 이유는 과거 기후의 변화에 수천
년
이상 적응해 왔기 때문”이라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말했습니다. 제도적인 뒷받침도 필요합니다. 국회는 도로교통법을 개정해 내
년
까지 자율주행 로봇이 인도로 다닐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공원출입 허가 및 건물 출입, 엘리베이터에 탈 수 있게 하는 법령도 준비 중에 있습니다.이 모든 것은 음식 배달의 마지막 단계, 소비자에게 닿기 직전 ... ...
[한 장의 기후위기] 흙 속에 묻힌 주민들의 시간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말했다.수
년
전부터 전국 곳곳에는 태양광발전소가 세워졌다. 안전관리 제도도 2018
년
부터 순차적으로 마련됐다. 하지만 이미 설치된 시설 중에는 사람들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곳도 남아 있다. “우리가 가족처럼 키우던 강아지들도 산사태에 휩쓸려 흙 속에 파묻혔어. 아무리 짐승이라도 하나의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기술 좋은 역술인이 있을 뿐이다.첨단 기술을 접목한다고 해도 달라지는 건 없다. 생
년
월일이나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의 움직임이 사람의 성격이나 운명에 영향을 끼친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알고리즘을 복잡하게 만들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다고 해서 없는 근거가 생기는 건 아니다. 고대 ... ...
우크라이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것이다. 이 교수는 “우주기술 개발을 위해서 투자되는 분야를 보면, 한국은 지난 30
년
간 발사체, 인공위성 등을 만드는 하드웨어 기술에 집중해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번 전쟁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한 데이터의 확보 및 활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끝까지 거짓말만 하네요.”“정말이야 나는 인간이 싫어. 멍청하고, 이악하고, 매
년
수십 종의 생물을 멸종시켜 놓고도 반성이라는 게 없었지. 어떤 생물종이 10만 마리 남았다고 하면 그게 얼마나 적은 숫자인지 상상도 못 하다가, 인간의 숫자가 10억 명 밑으로 줄어들었다고 하니까 당장 내일모레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치료에 어려움을 겪게 되지요. 2014
년
, 영국 정부는 이러한 슈퍼버그로 인해 2050
년
에 매
년
100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사망하고 막대한 치료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 경고했어요. 또한 지난 2월에는 미국 워싱턴대학교 공동연구팀이 2019
년
한 해 동안 100만 명 이상이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목숨을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용돈이 늘어나는 비결? '비율'을 알아야 이득!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수콤달콤 은행에 왔어요. 용돈을 저축하고 1
년
뒤에 찾을 예정이에요. 은행원으로 변신한 수콤과 달콤이 서로 다른 예금 상품을 추천하네요.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까요? ...
[특집] 문명 아이템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완료된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승정원일기를 예상보다 수십
년
빨리 해독했다. 일본 초서누가 일본 오픈 데이터 인문학 센터어떻게 일본의 고전 문학이나 고문서 등의 한자를 AI에 학습시켜 현대 일본어로 해독했다. 고대 산스크리트어누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올리버 헬위그 ... ...
[매스미디어] 버즈 라이트이어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속한 우리 은하의 지름은 약 10만 광
년
이죠. 라이트이어가 떠나온 행성은 지구에서 몇 광
년
떨어져 있는지 궁금해지지 않나요? 아인슈타인이 밝힌 시간의 지연 긴 비행을 끝내고 버즈는 다시 행성으로 돌아와요. 그런데 어떡하죠? 알고 보니 예상했던 시간보다 행성을 떠난 지 더 많은 시간이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