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886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치매 예측…이 단백질에 변이 생기면 치매 확률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의 PLCγ1 단백질
유전자
의 26번째 엑손은 쥐의 PLCγ1 단백질
유전자
의 27번째 엑손과 아미노산 서열이 100% 일치한다. 연구팀은 쥐의 PLCγ1의 27번째 엑손에 1개의 염기가 비정상적으로 삽입되면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는 치매에서만 발견되는 현상임을 최초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 이중나선 발견에 가려진 ‘암흑여사(dark lady)’ 프랭클린
2021.01.21
우리가 원하는 대로
유전자
를 붙였다 뗐다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왓슨과 크릭 이후
유전자
가위의 등장은 거의 필연이라 할 수 있다. 환원주의 말고도 왓슨과 크릭을 성공으로 이끈 물리학적 방법론으로 모형화(model building)를 꼽을 수 있다. 흔히 과학이라고 하면 실험결과로부터 일반법칙을 ... ...
英 변종에도 정상 작동…화이자 백신 효과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501Y.V1.으로 불리며 모두 동일한 변이 바이러스를 지칭한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의 8개 부위 등 총 17개 부위에서 변이를 일으킨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역학 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높다는 사실만 확인됐을 뿐 그간 코로나19 백신의 ... ...
[美 바이든 취임 D-1] 백신부터 기후변화까지…트럼프와 떠나는 얼굴, 바이든과 오는 얼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수상자로 다우드나 교수와 샤르팡티에 박사를 선정해 특허 소송과는 별개로 두 사람을
유전자
가위 기술의 ‘원조’로 인정했다. ○ ‘초고속 작전’, 슬라우이→케슬러 코로나19 백신 개발 프로젝트인 ‘초고속 작전’은 데이비드 케슬러 전 식품의약국(FDA) 국장이 몬시프 슬라우이로부터 ... ...
문 대통령 "노바백스 백신 2000만명 분 추가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바백스가 개발중인 단백질 백신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활용한다.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물질을 단백질 재조합 방식으로 나노입자 형태로 집어넣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일반 냉장고 수준인 8도 이하에서 보관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
2021.01.15
있다. 그러나 중합효소연쇄 반응(PCR)으로 바이러스를 검출할 때 여러 개의 표적(바이러스
유전자
부위)을 활용하므로, 돌연변이가 일부 표적을 변화시켜도 다른 표적은 여전히 작동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돌연변이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상세히 알아보자. 면역체계를 회피할 수 있을까 ... ...
영국·남아공 이어 일본·미국서도 변이 코로나 발견...WHO 긴급위원회 소집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변이는 콜럼버스에서 광범위하게 전파된 것으로 기존 변이바이러스와는 다른 3개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지구촌 곳곳에서 변이바이러스가 발견되자 WHO는 긴급위원회를 열고 변이바이러스 관련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WHO는 “최근 보고된 변이바이러스들에 대한 ... ...
코로나 완치 후 최소 5개월은 백신 접종과 같은 예방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재감염된 44명 사례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첫 감염 바이러스와 재감염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진행해야 하지만 첫 감염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많아 ‘잠재적인 재감염’이라고 명명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코로나19에 첫 감염된 뒤 최소 20주 ... ...
코로나 1년, 과학자들이 그 누구보다 빨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IBS) RNA연구단장과 장혜식 연구위원, 김동완 연구원은 질본과 공동으로 바이러스의
유전자
전체를 가장 정밀하게 분석한 지도를 4월 9일 ‘셀’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진단 기술 개선과 치료제 개발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코로나 바이러스 돌연변이, 문법 찾는 AI로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중 일부가 바뀌는 현상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돌연변이가 백신 회피를 일으키려면 바뀐
유전자
가 만든 표면 단백질의 모양이 달라져 백신이 만든 항체를 피하는 돌연변이가 일어나야 한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구조로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는 없다. 바이러스는 특정한 염기서열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