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1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팀, 집단지성으로 ‘뇌 지도’ 발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셀’ 17일자(현지 시간)에 발표됐다. 김 책임연구원팀은 이 연구가 신경절세포
손상
에 의해 발생하는 녹내장 등 질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배경에는 더 큰 목적이 있다. 장차 시각 특화 뇌지도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건물 구조를 알기 위해 곳곳에 사용된 ... ...
‘라돈 침대’ 논란, 높아진 생활방사선 내부 피폭 우려…“장기적 건강영향평가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5.18
대한 용해도가 높을수록 인체 깊숙한 곳까지 침투한다. 심한 경우 장기에 직접적인
손상
을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성물질이 체내에 한 번 유입되면 반감기(에너지가 절반이 되는 시간)를 거쳐 완전히 붕괴돼 방사성물질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 방사선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반감기가 길면 ... ...
[과학사진관]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유래한 것이다. 사진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있는 것은 바늘의 무딘 끝이고 위쪽은 아직
손상
되지 않았다. 매끈한 표면과 대비되는 거친 표면, 넘실거리는 은빛 물결 모양이 추상적인 감각을 느끼게 한다. 작가의 TIP 연성물질? 말 그대로 부드러운 물질을 말한다. 고체와 액체 중간에 ... ...
[사이언스지식IN] 5일 만에 뒤집힌 원안위 대진침대 라돈 검출 발표, 왜 그들은 입장을 바꿨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15
사람의 피부 역시 투과하지 못하죠. 하지만 감마선의 경우 인체내부의 장기에도
손상
을 줄만큼 투과력이 강합니다. 주로 외부피폭을 일으키는 건 감마선입니다. 라돈과 토론의 경우 원자핵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알파선을 방출합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라돈이 우리 주변을 떠돌고 있어도 ... ...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05.08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
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으면 신경세포 안에 ‘타우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GIB ... ...
앉아있는 화이트칼라 VS 서있는 블루칼라, 어떤 노동자가 건강위험 클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다리에 있는 정맥이 늘어나서 피부로 돌출된 것으로, 혈관 압력이 높아져서 판막이
손상
될 때 혈액이 역류하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김현주 이화여대 목동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이 2012년 국제학술지 ‘인간공학’ 2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쉬지 않고 서서 일하는 시간이 하루 4시간 ... ...
DNA서 염기 하나만 바꿔… 근위축증 앓는 생쥐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하나만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발병한다. Dmd 유전자가 제 기능을 못하면 근육세포가
손상
되지 않게 도와 주는 디스트로핀 단백질을 생산하지 못한다. 염기교정 가위는 2016년 데이비드 리우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에 의해 처음 개발됐다. 당시 개발된 기술은 시토신(C)을 티민(T)으로 바꿔 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생명유지에 중요한 생리현상을 주관한다. 대뇌나 소뇌가
손상
돼도 살 수 있으나 뇌간이
손상
되면 바로 죽는다. 연수에 호흡리듬발생기 있어 흥미롭게도 연수에서 들숨과 날숨을 담당하는 영역은 서로 분리돼 있다. 평소 편안한 호흡을 할 때는 들숨을 조절하는 뉴런 네트워크만 활동한다. 즉 ... ...
[표지로 읽는 과학]암 증식, 신경 발달까지 선명하게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18.04.22
촬영할 수 있다. 살아있는 조직의 위아래로 얇은 광시트를 고속으로 반복 발사해 세포
손상
을 최소화 하면서 3차원의 생체분자의 운동을 포착하는데 적합한 기술이었다. 하지만 세포 주변에 빛에 의한 시야 왜곡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별에서 나온 빛의 왜곡률을 보정하는 천문학 ... ...
알츠하이머 치료 효과 가진 새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알츠하이머는 ‘베타 아밀로이드’란 단백질이 뇌 속에서 염증을 일으켜 신경세포를
손상
시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를 없애는 치료약물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많았지만 대부분 효과와 안전성이 뚜렷하지 못해 중단되는 실정이다. 최근엔 베타 아밀로이드보다는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