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뉴스
"
밖
"(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슬아슬한 일광욕
팝뉴스
l
2018.11.05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일광욕하는 장소가 아주 특이해서다. 남자는 4층 창문
밖
으로 나와 자리를 잡았다. 어떻게 저 좁은 턱에 몸을 뉘일 생각을 했을까. 잠깐 졸기라도 하면 큰일이 날 수 있다. 몇cm 차이로 아래로 추락할 수도 있으니 보는 사람이 조마조마하다. 해외 네티즌들은 남자가 ... ...
“화성 흙 지구로 보내라”… 2년후 발사할 탐사로봇에 특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오퍼튜니티는 평균 초속 1cm로 움직이는데, 14년 넘는 시간 동안 45.16km를 움직였다. 지구
밖
행성 표면에서 현재까지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한 로버라는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유일하게 작동 중인 탐사 로버는 2012년 8월에 화성의 게일 분화구에 착륙한 큐리오시티뿐이다. 약 900kg으로 소형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바라보지 않고, 마치 꽃잎처럼 겹쳐진 시야로 하늘 전체를 스캔합니다. TESS는 태양계
밖
에서 지구로부터 300광년 이내에 있는 행성들을 탐색합니다. 2년의 임무 기간 동안 약 20만 개의 행성을 찾고, 슈퍼 지구를 포함한 1500개의 외계 행성 후보 물질을 분류할 것으로 보입니다. NASA는 TESS가 발견할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일정한 질량을 갖지만 팽창하는 균등한 우주를 통한 우리 은하
밖
의 성운들의 시선속도 설명’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당시 논문은 프랑스어로 작성된 데다 이미 학계에서 명성을 떨치던 아인슈타인이 “당신의 계산은 맞지만 당신의 물리는 말이 안 된다”고 폄하해 ... ...
2020년대 환경파괴 없는 ‘수소열차’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없앤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영국도 2022년 초 코라디아 아일린트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
밖
에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덴마크 등 유럽 국가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수소경제’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올해 4월부터 ... ...
스티븐 호킹 유품 경매 나왔다… 자필 논문은 낙찰가 2억 원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경매 예상가는 1만~1만5000파운드(1479만 ~2218만 원)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밖
에 호킹 교수가 생전 즐겨입던 항공점퍼, 박사의 지문이 날인된 저서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 초판본도 관심을 끈다. 호킹 교수가 1965년에 쓴 케임브리지 박사 학위 논문 ‘팽창하는 우주의 성질’도 이번 ... ...
2600개 외계행성 찾은 케플러 우주망원경 '영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존재하는 무수한 행성의 존재를 우리에게 확인시켜줬다”고 말했다. 케플러가 태양계
밖
의 세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넓혀줬다는 설명이다. 케플러는 지난해 9월 토성의 고리 속으로 떨어지며 사라진 카시니호처럼 장렬한 최후를 맞이하진 않는다. 대신 태양으로부터 약 1억5000만㎞ 떨어진 ... ...
세계는 지금 '우주'라는 신대륙 탐험을 준비하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8.10.30
망원경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한국이 직접 참여해도 좋은 분야”라고 소개했다. 그
밖
에 표토 자체를 제거하는 기술이나 거주공간 구축 기술, 에너지 현지수급 기술 등 달이나 행성 현지에서 현지 자원을 이용해 생존하는 기술이 향후 국제 협력 연구가 활발할 분야로 꼽혔다. 우주 선진국의 우주 ... ...
공장 초미세먼지 90%이상 줄이는 복합집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원통형 모양의 구조를 빠르게 회전시켜서 내부 공기의먼지가 원심력에 의해 원통
밖
으로 분리되게 하는 장치를 ‘사이클론’이라고 한다. 기존의 사이클론은 새어나가는 공기가 많아 내부 압력이 많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먼지 잡는 2중벽 사이클론의 ... ...
KAIST 과학로켓 날았다
2018.10.29
설계상 로켓이 올라갈 수 있는 비행고도가 3km임에도 공역 사용 허가를 고도 1km까지
밖
에 받지 못해 연구진은 엔진에 연료를 적게 넣는 방식으로 상승 고도를 제한해야 했다. 한국은 과학로켓 발사가 어려운 환경이다. 남북 군사 대치로 공역 사용에 한계가 많고 과학로켓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인식도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