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용"(으)로 총 3,3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근시와 원시에 따라 서로 다른 안경을 써야 할까?기사 l20200311
- 쪽에 생기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래서 근시에 경우 수정체로 들어오는 빛을 퍼지게 하여 우리가 보는 물체를 밀어주는 오목랜즈를 이용하여야 하고 반대로 원시는 망막뒤에 생기는 우리가 보는 물체를 앞으로 당겨서 더욱 가까이있는 물체와 멀리있는 물체가 더 잘보이게 해야합니다. ( 사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로 정상적인 눈은 우리가 보는 물체 ...
- 프린터는 어떤일을 할까?기사 l20200310
- 빠르고 소리가 덜 나기 때문입니다. 또 출력단위도 나뉩니다. 시리얼 프린터, 라인 프린터등이 있습니다. 충격식은 물리적 충격을 이용해 인쇄를 하는 것이고 비충격식은 레이저로 쏴서 인쇄를 합니다. 더 정확이 말하자면 충격식은 리본에 묻은 인크를 인정사정 없이 종를 때리는? 그런 방식입니다. 비충격식은 레이저로 인정사정 없이 종이에 잉크를 쏩니다 ...
- 우웅이 이야기 1화포스팅 l20200308
- 제가 우웅이 캐릭터를 이용해서 만화를 그려보려고 합니다! 매 화마다 컨셉을 바꿀거고 미방으로 팬아트 하나씩 넣어놀거예요! 웅권도 검은 띠를 딴 우웅이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차는 그림입니다. 퍼 가셔도 되요! 그럼 만화 시작할게요! 전부 손그림이고요. 티셔츠를 색칠할 때 마커를 썼더니 번졌네요.. 앞으로 티셔츠 색칠할 때는 색연필 써야겠어요. ...
- 껌을 많이씹으면 정말로 사각턱이 될까?기사 l20200308
- 근육인데요, 껌을 많이 씹으면 이 근육이 발달해서 두꺼워 집니다. 그 결과 사각턱이 되는 겁니다. 이렇게 생긴 사각턱은 보톡스를 이용하여 교정할 수 있습니다. 보톡스라는 것은 근육을 잃게 만드는 물건 입니다. 둘째,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이는,턱관절에 원래 문제가 있던 분들에게 주로 발생하는데요, 껍을 씹을 때 턱이 위아래로만 움직 ...
- 인간과 동물이 같은 바이러스에 걸리는 이유가 뭘까?기사 l20200307
- 훼손과 개발을 막기 위하여, 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둘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자가용보다는,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또는 걷는다. 셋째, 쓰레기 양을 줄이기 위해, 재사용 이나 재활용을 실천한다. 둘째, 야생동물의 식용사용, 체험 동물원 부실 동물복지 연구소 에서는 '야생동물과 사람사이에 밀접한 접촉을 허용하는 위험한 ...
- 토론터 글 길이 최고기록 갱신했어요!!포스팅 l20200306
- 하이퍼루프는 이미 기술이 대부분 만들어졌고, 만드는 것과, 루프를 투명하게 만드는 것만이 남아있습니다. 하이퍼루프는 전자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의 일종으로 최고시속 약 1200km/h정도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 테스트 주행에서 300m를 400km/h정도의 최고속도로 주파하며 실제 1000km/h정도로 이동할 수 있 ...
- 하늘로 계속 올라가면기사 l20200304
- 관해 학문적으로 가장 권위를가진 사람들은 역시나 캐나다인들(저도 캐나다인이에요)같은데요. 추위와 인간 생존에 관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비교 모형은 온타리오에 있는 환경의학민군연구소(Defence and Civil Institute of Enviromental Medecine)의 피터 티쿠이시스와 존 프림이 개발한 것입니다. 그들의 모형에 따르면 ...
- 사랑스러운 청소물고기, 코리도라스 키우기기사 l20200304
- 놔둔 물이 없다면 일반 수돗물에 염소 중화제를 넣어도 됩니다. 2. 수조 벽에 붙은 이끼를 깨끗하게 닦아 줍니다. 3. 물갈이용 펌프를 이용해 물갈이할 만큼의 물을 빼냅니다. 이 과정에서 수조에 있는 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습니다. 4. 새로 넣을 물을 천천히 넣습니다. 급하게 물을 넣으면 물고기가 놀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김세령 ...
- 1월의 BOOK소리: 말하는 나무들기사 l20200304
- 자작나무를 베면 같은 지역에 있던 미송(구과식물의 일종)이 죽기도 하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두 나무가 땅속애서 균근망을 이용해 자원과 정보를 나누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과학자들이 동의하지 않아 연구 기금을 지원받기 어려웠지만 돈이 없고 반대 세력이 있어도 연구를 하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시마드는 브리티 ...
- 반짝반짝 별들아~너희는 어떻게 별자리가 됬니?기사 l20200303
- 안녕하세요? 이재경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별자리가 생긴 이유를 알려드릴게요. 별자리는 5000년 전 목동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해요. 목동들은 푸른 초원을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 이렇게 변해온 별자리는 예로부터 여행자와 향해자의 길잡이가 되어왔고 오늘날에는 천문학자들에게 아주 중요한 '밤하늘의지도'로 이용되고 있어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