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지니계수도 커진다. 만약 모든 소득을 한 사람이 다 차지하면 지니계수는 1이 된다. 즉 이론적으로 지니계수의 값은 0과 1사이고, 소득불평등이 심해질수록 지니계수의 값은 커진다.한 국가의 국민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선 산술평균인 1인당 국민소득만을 보아서는 안 된다. 그 나라의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14km가 된다.양자론에 따르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은 모두 일어난다.’ 그러므로 올바른 이론을 알고 있다면 모든 일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힉스 입자가 만들어질 확률도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에 따르면 LHC에서는 2010년 한 해 동안 300개 정도가 만들어졌다. 기록된 수십억 번의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소화되지 않고 세포 내부에 적응해 공생체로 살아남아 진화해 세포소기관이 됐다는 이론이다.지금까지 연구결과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합성을 하는 모든 진핵생물은 최소한 10억 년 전 단 한차례 일어났던 내공생에서 비롯됐다. 즉 이들이 갖고 있는 엽록체는 당시 잡아먹힌 한 시아노박테리아 ... ...
-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보면 순수 학문만큼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번 호에 소개하는 수학적 이론인 신호 체계는 지나치게 깊은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교차로를 지날 때마다 흔히 접할 수 있으면서도 체계적이고 훌륭한 논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매력이 있어서 최근 수리논술에서 자주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다시 분류하고 있다. 사람이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정보이론을 바탕으로 판단한다.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수학과 체스는 입력신호의 조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쉬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를 통해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일은 아주 현명하다.구겨진 종이가 얼마나 단단한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사실 예전에 이론 연구에서 예측했던 바였다. 그런데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 있었다. 종이를 얼마나 작게 구길 수 있느냐는 ‘얼마나 세게 구기느냐’에도 달려 있지만 ‘얼마나 오랫동안 힘을 주느냐’에도 영향을 ...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나이를 계산하라한스 베테는 과학자로서 재미있는 시대를 살았다. 중력과 에너지에 대한 이론을 확립한 아인슈타인의 상대론과, 미시세계는 확률론에 의해 지배된다는 것을 밝힌 양자역학이 이제 막 새롭게 탄생했으니, 과학자에겐 그야말로 신천지였을 것이다.당시 가장 중요한 이슈 하나는 ... ...
-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있다. 서울대 건축학과는 공과대학에 소속돼 있다. 건축학과는 건축설계 및 역사이론을 다루는 건축학 전공과 구조공학, 건설경영, 건축환경 등을 다루는 건축공학 전공 등 두 개의 프로그램으로 나뉜다.4 뭘 배우나요?건축학 전공은 실제 설계 과정을 경험하는 ‘건축설계 스튜디오’ 과목을 ...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속도를 나타낼 때 쓰는 단위입니다. 1마하는 소리의 속도로 1초에 약 340m을 갑니다. X-43A는 이론상으로 마하 15의 속력으로 날 수 있습니다. 실제 마하 9.68(11200km/h)을 기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길이 약 3.7m, 무게 약 1300kg인 작은 몸체 덕분이기도 하지만 빠른 속도는 스크램제트 엔진의 덕이 큽니다. ...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구별할 수 없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것이다. 지금도 미래의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할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당장은 사람 모습을 하고 사람처럼 생활하는 로봇이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군사용 무인정찰기, 무인자동차처럼 당분간은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인공지능이 주로 쓰일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