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d라이브러리
"
사회
"(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물론 학생들의 연구는 자그마한 교실에서 이뤄지지만 단순한 연구활동 결과에서
사회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원리로 발전시키는 것이 진정한 연구활동의 완성입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1개의 교실에서 30개의 교실, 부산시 고등학교,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로 범위를 넓혀가며 얼마나 많은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언어)으로 나눠 특기 과목을 하나 선택하게 한다. 과학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
사회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역사’ 가 필수 과목이다. 이 때문에 과학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학생들마다 개인차가 있지만 수학 수업을 원하는 만큼 학교에서 지원받을 수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미래의 과학영재는 단순히 과학을 잘하는 학생에 그쳐선 안 된다. 인문이나 예술 그리고
사회
경제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이해한 것은 글을 통해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에는‘STEAM+W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부터 과학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없다. 멀쩡하던 산이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만 반영돼 있는 것이다. 유철상 고려대 건축
사회
환경공학부 교수는 “현재의 산사태는 사람에 의한 간섭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것은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산사태’의 정의와 전문가, 산사태 정보시스템이 내리는 정의가 다르기 때문에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은 모뎀, 즉 전화선을 이용하는 방법뿐이었다”며 “우리나라
사회
에 인터넷의 영향력이 급격히 커지기 시작한 건 1999년 초고속인터넷망이 깔리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덧붙였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갯벌이 수두룩한 우리나라와는 천지차이였다. 통역과 안내를 맡은 이응철 사가대 지역
사회
개발학과 교수는 “큰 갯벌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 눈에는 너무 작아서 갯벌로 보이지도 않을 것”이라고 미리 귀띔해 줬다.도시 북서쪽에 자리한 하카타 만의 와지로 갯벌을 찾았다. 뻘과 모래가 섞인 0.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지만
사회
적으로 좋은 직업이라고 알려진 것이지 ‘나만의 꿈’은 아니다. “그건
사회
에서 인정받는 직업이지. 네가 평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을 말해보렴.” “게임 외에는 좋아하는 게 딱히 없어요.” 어렸을 때부터 게임을 무척 좋아해서 인터넷고로 진학할까 고민했다는 L학생. 게임 TV만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는 에너지에 대한 지식 외에 세계를 보는 넓은 시야와 인문
사회
적 소양을 강조한다. 문 교수 자신이 역사서와 철학서를 탐독하는 것처럼.“제가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기존 전력망 연구에 한계를 느껴서였죠.”문 교수는 1993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지만 GIST에서는 ‘지덕체’ 대신 ‘체덕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체육과 인문·
사회
과목이 중요하다. 학생들은 체육과 음악을 각각 6학기, 4학기를 듣지 못하면 졸업할 수 없다. 대신 이들 과목은 무학점제다. 성적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서다. 처음엔 의무적으로 체육과 음악을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제 최대한 많이 게놈을 모으려는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게놈이 바로 돈이거든요.
사회
자 사람도 마찬가지에요. 이미 1000명의 개인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앞으로는 개인별로 게놈을 분석해 맞춤의학 시대를 열 거라고 하네요. 오늘 여러분을 모시고 여러 얘기를 나눌 수 있어서 정말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