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몬의 생각은 어떨까. 몬에 따르면 산타는 현대 과학자들이 아직 실체를 밝혀내지 못한,
복잡
한 물리학 개념을 활용한다. 바로 웜홀과 워프 드라이브다. 몬이 보기에 산타가 혼자서 그 많은 선물들을 전해줄 시간은 없다. 그래서 몬은 산타가 자신의 일을 함께 해 줄 부대를 꾸릴 거라고 생각했다. 이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호르헤 보르헤스는 이야기 속 미스터리가
복잡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우주 자체가
복잡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때로는 프랙탈 이론처럼 하나의 실마리가 전체를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있다. 특히 인간의 본능에 가까운 것일수록 자연은 곧잘 해답의 실마리가 되곤 한다. 그것도 매우 재미있는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학습을 해두는 것이 안전하다. 풍부하고 깊이있는 배경지식은 때로 어려운 분석이나
복잡
한 추론 과정을 대체하기도 한다. 물론 제시문 분석이나 추론을 대신해준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어떠한 논제에 등장한 소재에 관해 사전에 배경지식의 형태로 접했다면 분석이나 추론을 위한 고민의 시간을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구하는 활동으로 부등식을 만날 수 있습니다. 참값의 범위를 구하는 문제를 생각하면
복잡
하고 헷갈리는 여러 개의 공식이 먼저 떠오르나요? 공식이 잘 떠오르지 않는 친구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차근차근 생각해 보세요.예를 들어 최소 눈금 단위가 10g인 저울로 잰 측정값이 720g일 때 참값의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난다.네 가지 공리는 분명하고 간단한데 비해 다섯 번째 공리는 받아들이기에 너무
복잡
하다. 사실 다섯 번째 공리는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며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오직 한 개뿐이라는 것과 같다. 이것을 평행선 공리라고 부른다. 원론이 발표된 이후 19세기에 이르도록 사케리뿐만 아니라 ... ...
승객의 경로를 분석하는 '
복잡
계' 와 '그물얼개' 이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복잡
한 그래프를 분석할 때 쓰이는 이론인데, 많은 승객의 경로를 그래프로 그리면 매우
복잡
한 그물과 같은 그래프가 됩니다.성신여대 지리학과 이금숙 교수는 “외국에서는 승하차 기록을 담은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별 이동경로 자료가 없다” 며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객의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있거나 호랑이 나라의 금상 중에 무거운 것이 있는 셈이로군요. 기회를 1번 썼는데도 더
복잡
해진 것만 같구려. 2번 만에 엉터리 금상을 가려내려면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이오.이때 지혜로운 원숭이 왕이 묘안을 냅니다.원숭이 왕 : 뭐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닌 듯 보입니다. 우선 아직 저울에 올리지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시간도 더 걸리고 불순물도 훨씬 많이 나올 것”이라며 “구조가
복잡
한 분자를 만들 때 이 반응을 안 쓴다는 건 이제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미국 하버드대의 유기화학자 에릭 자콥센 교수는 “지난 50년 동안 개발된 합성법 가운데 팔라듐촉매 교차결합 반응법이야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구를 구하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있다. 영상 속의 로봇은 크고
복잡
해서 선택 받은 사람만이 조종할 수 있다.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며 생활을 돕는 로봇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다. 사람 가까이에서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로봇이다. 몸이 불편한 사람의 거동을 돕고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렵다.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
한 물질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탄생한 분야인 광유전학을 적용했다. 빛에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