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했다.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고, 꽃의 어느 부위가 생기지 않는지 관찰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가 꽃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여러 호르몬을 역할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ABC모델이라 부른다. 하지만 한 그룹마다 수 개, 많게는 수십~수백 개의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디서 얻으십니까?송재경 그 전에 만들었던 게임에서 아쉬웠던 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개발해 왔습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게임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다르게 해보자 하는 식이지요. 만화나 영화, 책 등에서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합니다. 잠재의식 속에서 무심코 툭 튀어나오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경우 안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클라크 교수는 “기존화학적인 제조 방식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무엇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가진 걸까.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 강의록 형식의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법칙은 중력을 물체와 물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기술한다. 하지만 이 힘이 어떤 방식으로 각각의 물체에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 게다가 뉴턴의 중력은 강한 중력장이나 빛에 가까운 속도에서 잘 들어 맞지 않는다. 예컨대 질량이 지구의 33만 배가 넘는 태양과 수성의 운동을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탄도미사일에 부딪쳐 운동에너지만으로 탄두를 파괴한다. 이를 ‘힛투킬(hit-to-kill)’ 방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타격비행체는 최대 지름이 37cm, 전체 길이는 약 195cm다. 농구 선수 키 만한 철심으로 수 t에 달하는 탄두를 맞춰 쪼갤 수 있을까. 북한 미사일의 성능이 알려져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해가 중요하다. 사람은 수읽기를 할 때도 감각을 바탕으로 탐색 공간을 몬테카를로 방식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줄여나간다. 특히 초반 포석 단계에서는 수읽기보다는 감각 위주로 수를 결정한다. 알파고는 대체로 나쁘지 않은 감각을 갖췄으나 종종 모양에 지나치게 치중해 더 큰 것을 놓치기도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두 책을 비교해 보는 건 또 다른 재미다. 항목은 비슷한데, 다루는 방식이 다르다. ‘세계를 바꾼 17가지 방정식’에서는 특정 방정식 자체가 왜 중요한지에 중점을 둔 반면, ‘수학사 강의’에서는 방정식이 나온 배경에 집중한다. 수식은 후자에서 더 많이 등장한다. 세상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로또 번호를 추첨하는 것도 비슷한 방법이다. 음악에서 랜덤 재생을 했을 때 사용하는 방식도 정확히는 셔플에 해당한다.아무 수나 적어 놓은 난수표난수가 필요할 때는 어떻게 만들까? 그때그때 아무렇게나 생각해서 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예전에는 무작위로 된 수열을 만들 수 있는 ‘난수표’를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던진 지점을 0으로 놓고낚싯줄을 당기는 방향과 거리(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인지하는 방식입니다. 물고기가 도망치려는 쪽과 반대 방향으로 낚싯줄을 당기면 잡을 수 있습니다.그런데 물고기는 자꾸 다른 방향으로 도망치려고 합니다. 우리도 낚싯줄의 방향을 움직여야 하지요. 즉, 고정점 (0, 0)을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