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찾는 대로 귀하께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후로 한동안은 아무런 소식도 없었다. 히라바야시 박사는 문제의 관벌레에 대해 더 알아낸 것이 있는지 몇 번이나 김 박사를 통해 물어왔지만, 그마저도 한 달 후에는 포기한 모양이었다. 시간이 그쯤 흘렀을 무렵에는 내 비정상적인 인기도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양궁인 듯 양궁 아닌 다트다트는 영국의 왕이었던 헨리 8세가 궁수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했다고 해요. 궁수가 비 오는 날에 목표물을 정확하게 ... 항상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갖고 자기만의 개성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즐겁게, 욕심 부리지 말고, 스스로 개성을 찾아보세요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몸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개구리가 발견됐어요! 에콰도르 샌프란시스코대학교 연구팀은 아마존 지역에서 새로운 종의 개구리를 발견하고,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 ... “석유 추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도로 개발 때문에 이 개구리의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모기 악당 ‘ 피파라 모스키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앵~!”모기 소리에 놀라서 잠에서 깬 썰렁홈즈.벌써 모기가 극성인가 싶어 불을 켜고 모기를 찾으려는 바로 그때! 창밖에서 더 큰 소리가 ... 모스키토’다.올 여름 이 마을은 내가 접수한다. 앵~!”문을 열어 본 썰렁홈즈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온 마을을 모기떼가 뒤덮고 있는 게 아닌가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상 시상식을 11월 23일 서울 강남구 라 ...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100년쯤에는 우리 친척인 황제펭귄의 95%가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하더라고. 무서운 일이야. 급격한 기상 변화는 우리 번식지에 재앙을 가져올 수도 있어. 우리가 카메라로 찍어 준 사진과 영상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거라 믿어. 과학자들이 그걸 연구해서 우리가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방패는 센서 노드 간에 보안키를 설정해 만들고, 창은 보안키를 해킹하면 가능합니다. 보안키를 해킹하려는 사람과 지키려는 사람의 숨 막히는 대결,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심 놀이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끼 손톱만 한 검정색 개미의 정식 명칭은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다. 그런데 겨울이 되면 그 흔했던 일본왕개미조 ... 바위 틈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이로써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해 겨울 개미를 찾는데 성공했다.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 보시길 ...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끔 한강이나 도시의 호수 등 도심에서 발견되는 야생동물인 수달은 동물계 대표 ‘귀염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고대에는 수달이 지금 ... 포식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7-15391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약 북한이 탄저균을 이용한 생물 무기로 도발한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미국 국방 연구기관인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박사는 2011년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에서 “북한이 서울 상공에 10kg의 탄저균을 뿌린다면 최소 2만 명에서 최대 60만 명까지 감염될 수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