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동설이 나오기 까지과학동아 l1988년 05호
- 달의 모습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것과는 판이했다. 달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공모양의 평평한 표면이 아니라. 울퉁불퉁한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던 것이다. 그는 천상게와 지상계를 구분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갈릴레오는 천상계와 지상계의 동질성을 회복시켰다.달이 ... ...
- 감마선의 시사과학동아 l1988년 05호
- 것이다. 그러나 감마선은 그렇지 않다. '고에너지 천체 물리 관측체3'이라고 불리우는 인공위성은 시그너스X-1으로부터 방출되는 X-선과 감마선도 검출해 왔다. 감마선은 X-선과 유사하지만 파장이 더 짧으며, 따라서 X-선보다 더 큰 에너지를 가진다. 시그너스X-1에서 방충될 감마선은 그곳에서 ...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과학동아 l1988년 04호
- 만든 것인데, 박진이 경주 전투에서, 권율이 행주산성 전투에서 이것을 사용하여 큰 공을 세웠다고 알려져있다.그러나 사실은 이보다도 2백여년 앞서서 문종왕이 손수 연구하여 발명한 것이다.문종은 세종의 세자로 있을 때부터 동생인 임영대군, 금성대군과 함께 화기의 연구를 도울 정도로 과학에 ...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등으로 이용하고자 요청하면 협조해주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보다 알찬 전시공간의 구성과 함께 다양하고도 활발한 연구활동이 진행될 수 있는 예산 인력의 뒷받침이 이루어져야만 국립과학관이 과학한국의 중추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로 국립과학관의 입장료는 어른 1백원, ...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과학동아 l1988년 02호
- 힘뿐 아니라 그것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제6의 힘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한 것. 미공군은 관성유도장치에 의존하는 미사일의 탄도가 제5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문제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에 '에카르트'팀은 7백10m높이의 TV탑의 높이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측정했다. ...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주었고 그것들 중 예측될 수 있었던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인공 생명에 대한 접근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모델들이 처음보다 더 풍부해져야 할 것이라고 듀드니와 다른 과학자들은 말한다. 모델들은 성장과 경쟁 그리고 진화의 과정을 결합시킨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이들이 ...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자신이 알아야 되므로 학계와 연구계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선진공업국을 지향하는 우리나라로서 지금 급속히 부각되고 있는 우주기술분야에서 선두주자는 못될망정 낙오자가 될수는 없다. 지구와 그 주변환경만 느끼고 생각해 오던 기성세대의 굳어진 의식구조에 비해서 어린 ...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과학동아 l1987년 12호
- 물론 이문제는 한국 측으로서도 보다 절실한 두통거리가 아닐수가 없다. 한국은 중공의 직격사정거리에 놓여지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이에 맞서는 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하루라도 빨리 그네들에게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급선무가, 우리나라도 이 ...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7년 11호
- 과연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유용한 상품으로서 자리잡을 것인가, 아니면 연구 그 자체에 머물러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할 것인가.인공지능은 금세기의 ... 저력과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여 앞을 내다보고 투자하는 기업만이 앞으로 다가오는 인공지능의 기업화 시대에 주인이 될 것이다 ...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수 있지요. 꼴찌로라도 합격하고 보자는 생각은 아주 위험합니다. 우선 들어가서 기펴고 공부할 수 있는 것이 좋으리라고 봅니다.한-먼 장래를 볼 때 자존심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판단해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스스로 능력도 발휘마며, 또 인생을 만족하게 보내는 첩경이 되겠지요. 그런데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