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12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보다 빨리 성숙했으며 단명했음을 알아냈다.스미스
박사
는 “나무가 자라면서 나이테가 생기는 것처럼 치아에도 ‘생장선’이 생긴다”고 말했다. 치아의 생장선은 상아질과 에나멜에 칼슘이 쌓이면서(석회화) 생긴다. 치아 표면에 연속적으로 나열된 생장선의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12
프랙탈을 더 발전시킬 후배들을 자랑스러워할 걸세. 만델브로 집합의 탄생 만델브로는
박사
학위 논문 주제를 찾고 있을 때 삼촌인 숄렘 만델브로로부터 논문 하나를 건네받는다. 그것은 1917년에 발표한 가스통 쥘리아의 논문이었다. 복소평면 위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구조인 쥘리아 집합에 관한 ... ...
수학문화 확산에 수학체험전이 최고예요!
수학동아
l
201012
가르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 최태영
박사
는 “지역마다 열리는 수학체험전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다 보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없어 안타까웠다”며 “연구소 차원에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파악하려고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고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11
달콤한 초콜릿의 열량은 아삭한 사과보다 높아요. 반면 초콜릿의 무게는 사과보다 가볍죠. 이렇게 어떤 두 물체 또는 수나 식의 많고 적음을 알려 주는 ‘부등식’ 맛 통조림이 나왔어요. 부등호 소스로 달콤한 맛을 더해 주는 신제품 ‘부등식’ 맛 통조림, 그 맛의 비결을 함께 알아볼까요?부등식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11
저장, 배아를 폐기하는 행위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노벨상 위원회는 에드워즈
박사
의 중요한 발견과 도전이 지금처럼 성공적인 체외수정 기술로 이어져 새로운 의학 분야가 등장했고 불임 부부에게 큰 희망을 안겨줬다고 평가했다.앞으로 전문가들은 생명 윤리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11
투입하기 위한 장치다. 이번 3차 실험을 위해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개발했다. 권
박사
는 “중국의 EAST도 2013년에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ITER 참가국으로서 높아진 위상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국제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사무국과 국제원자력기구가 한국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11
브라이언 툰 수석연구원은 “소행성 충돌시의 대기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피에라조
박사
연구팀의 연구는 과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를 발전시켜 소행성이 땅 위에 떨어질 때를 시뮬레이션해 보면 더 큰 피해가 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는 ‘지구와 행성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11
있다고 강조했다.“비선형광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개척해 노벨상을 받은 블렘베르겐
박사
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세상은 비선형적이어서 예측이 어렵다. 하지만 똑똑한 젊은이들이 이 분야의 연구에 계속 뛰어드는 한, 예측하지 못한 뛰어난 연구 결과가 계속 나올 것이라는 예측은 할 수 ... ...
매머드 피는 특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건가요?캠벨 교수는 얼어 있는 땅 속에 갇혀 있던 4300년 전의 제 뼈를 구했어요. 쿠퍼
박사
는 이 뼈에서 DNA를 추출해서 매머드 피의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얻었구요. 이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대장균의 DNA에 넣어 피를 만들게 했답니다. 이렇게 복원된 피는 저, 매머드의 피와 다를 게 없지요.우와아~, ... ...
아다 요나트
박사
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속에서 가라 앉는 속도와 관련 있다. 그림은 ‘50S’에 대한 것이다.우리도 아다 요나트
박사
님처럼!혹시 포기하고 싶은 적은 없었는지, 주변에서 항상 물어보곤 해요. 불가능한 연구를 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절 오랫동안 거짓말쟁이라 말해 왔거든요. 실제로 리보솜 연구는 무척 힘들었어요. 하지만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