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6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결점' 생기는 보편 과정, 실험으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않도록 하는 방법에도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신용일 물리천문학부
교수
팀이 초유체 상전이 과정이 빠를수록 결점의 한 종류인 양자 소용돌이가 더 많이 생성된다는 '키블-주렉 멱법칙(scaling)'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연구결과를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 ...
폐수 속 신종 환경호르몬 신속 제거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계산과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상훈 극한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주병권 고려대
교수
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건식기반 ‘아크 플라즈마 증착 공정’을 통해 고성능 코발트 단원자 촉매를 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촉매를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 ...
사랑하는 사람 잃으면 생물학적 노화 '진짜'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경험한 사람은 생물학적 노화와 더 밀접하고 그 정도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엘로
교수
는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트라우마에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4.2186 ... ...
고온 초전도체 비밀에 더 가까이…고체에서 '암흑 전자'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없는 에너지, 저렴한 운송·진단기술 등 기술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김근수
교수
는 "고체 속 암흑 전자의 존재 규명은 그동안 설명할 수 없었던 양자 현상 이해의 단서"라며 "현대물리학의 오랜 난제인 고온초전도 비밀을 푸는 데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67-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30일 ‘드론배틀 체험장’ 오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 전략 등을 논의한다. 폴 플랭클랜드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가 ‘해마 의존적 기억의 발생’이란 제목으로 기조강연을 하고 기억과 인지장애, 보상/동기/중독, 정신병과 조현병, 스트레스/사회성/우울증 등 4가지 주제로 심포지엄 세션이 진행된다. ■ ... ...
"탄소중립 후에도 온실가스 영향 지속…엘니뇨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표층으로 방출되면 엘니뇨의 특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국
교수
는 “인간 활동으로 증가한 온실가스가 전 세계 이상 기후를 더 악화시키고 있음을 제시하는 또 하나의 과학적 증거를 제공한 연구”라며 “우리가 지금까지 배출했던 온실가스의 영향이 기후 완화 정책을 ... ...
"아이스크림·핫도그 등 초가공 식품의 위해성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초가공 식품을 분류하는 체계를 개발했다. 군터 쿤레 영국 래딩대 영양학 및 식품학
교수
는 이러한 분류 체계에 대해 "애매모호하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식품 산업이 발전한 현대 사회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기 역부족이란 이야기다. 전문가들은 또 초가공 식품을 ... ...
쎄트렉아이, 민간 광학위성 1·2호 개발…위성 분야 뉴스페이스 신호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해외 수주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김해동 경상국립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
는 "정부 규제상 현재 해상도 0.3m급 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민간에서 바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이번 과제가 진정한 뉴스페이스 시대를 앞당겼는지에 대한 의문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일반에 ... ...
MIT·리켄 등 세계 최고 연구기관과 원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항바이러스제 스크리닝 시스템(BSL-3 Caps-It)‘을 구축했다. 연구책임자인 요한 네이츠
교수
는 바이러스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자로 다수의 항바이러스제 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한 경험이 있어 국내 감염병 연구 기반 확산과 고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재생에너지로도 공기중 이산화탄소 효율적으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95% 이상의 순도로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고동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팀이 전기로 작동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상용 탄소 포집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를 이끈 김규남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의 학생 창업기업 소브(Sorv)를 통해 기술 상업화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