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뉴스
"
관찰
"(으)로 총 4,559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아주 짧은 시간 누구도 본적 없는 현상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4세대 가속기로
관찰
한 현상의 사진을 포착하는 기법도 관심 있는 연구 분야다. 연구실에서 개발한 ‘단일펄스 시분해 이미징 실험 기법’은 물질이 변하는 전체 과정을 연속적인 사진으로 촬영하는 기법이다 ... ...
ETRI, 전자파 유해성 검증할 인체 가상모델 개발
연합뉴스
l
2020.12.15
또 180여개 구조물로 이뤄진 영장류 모델을 통해 전자파 흡수율에 따른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
할 수 있다. 그동안 전자파·방사선의 생체 영향 연구를 위한 동물 실험에는 설치류를 사용해야 했다. 이번에 공개된 모델을 활용해 전자기기는 물론 송전선과 이동통신 기지국 등 광범위한 전자파 노출 ... ...
복잡한 반도체 공정, 빛으로 간단하게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다른 빛을 쏘여 이텔루륨화몰리브덴(MoTe2)로 만든 2차원 반도체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
했다. 그 결과 자외선을 비추면 n형, 가시광선을 비추면 p형 반도체로 도핑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텔루륨-몰리브덴 간 원자 결합을 끊어 몰리브덴 원자 일부를 탈락시켰고 여분 전자가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항체 못만드는 환자에겐 치료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결과를 분석하는 대신 항체를 만들 수 없는 특수한 환자에게 쓴 렘데시비르의 효과를
관찰
했다.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이라는 희귀 유전병에 걸린 코로나19 환자의 치료 사례를 분석했다. 이 병은 항체를 만들지 못해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병에 걸려도 이에 맞는 항체를 만들지 못한다. ... ...
3시간 걸리던 반도체 패키징 검사 16분으로 줄였다
연합뉴스
l
2020.12.14
사용 중인 100배율 렌즈 장착 장비보다 자세하게 표면을
관찰
할 수 있고, 한 번에
관찰
할 수 있는 면적은 100배 더 넓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가로 1㎜, 세로 1㎜ 크기 반도체 패키징 이미지를 250㎚ 이하 분해능으로 16분 만에 검사할 수 있다. 2018년 기술 기준 검사 시간(3시간)의 12분의 1 수준으로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
2020.12.12
그때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정자를 형광염색한 뒤 어두운 배경에서
관찰
하는 암시야 현미경으로 보았는데, 마치 밤하늘에 떨어지는 유성을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채취한 정자는 혈연관계가 아닌 옆 칸 암컷 삵에게 인공수정했습니다. 하지만 번식에 성공하지는 못했습니다. ... ...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보고된 나무와 다르다는 점을 포착했다. 1917년 윌슨은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구상나무를
관찰
한 뒤, 이를 전나무속 분비나무와 구분되는 하나의 새로운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1920년 학계에 ‘Abies koreana’라는 이름으로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윌슨은 한국에서 구상나무 씨앗을 가져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거절에도 상처받는 사람들
2020.12.12
걱정이 많은 사람들이다.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보니 이들은 거절의 신호를 열심히
관찰
하며 민감하게 잡아내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여기에는 떨어진 풍선을 폭탄으로 감지해버리는 고성능 레이더처럼 거절을 감지해내는 데 있어 오경보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상대방은 아무 생각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해변 산호초 12곳에 게를 풀어놓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으로 나누고 2014년부터 1년간
관찰
했다. '마구이미스락스 스피노시시무스'는 최대 2kg까지 자란다. 위키피디아 제공 그 결과 산호초 중 85%에 덮여있던 해조류는 게를 풀자 50% 이내로 줄어들었다. 여기에 사람이 일시적으로 ... ...
물질 근원 밝힐 장치 '앨리스' 부품 국내서 양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온도가 태양 중심의 약 10만 배 높기 때문에 고열에 견디면서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
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가 필요하다. 기존에 앨리스에 쓰였던 실리콘 센서는 해상도가 낮아 쿼크가 붕괴하는 순간을 포착할 수 없었다. 권 교수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알피드는 고온에 견디면서 화소 수가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