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매달 ‘과학동아’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표지 그림이다. 이번 특집과 기획은 무엇일까, 일반 기사에는 어떤 내용이 실렸을까 하며 책장을 넘길 때 눈에 들어오는 것은 글이 아니라 화려한 그림이다. 어떤 기사는 그림만 보고도 주요 내용을 간파하기도 한다. 이뿐이 아니다. 천안함이 무슨 ...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상상해보라. 다른 어떤 선원보다 키가 크고 힘이 센 선장이 지휘하는 배를 말이다. 하지만 그 선장은 귀가 약간 먹은 데다 겉보기와 달리 허약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항해에 대한 그의 지식은 다른 이들보다 나을 게 없다.”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이 기원전 360년경 ‘국가론’에 남긴 말이다. 플 ...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유영제 교수의 저서 ‘이공계 연구실 이야기’를 보면 “연구는 피카소다”라는 말이 나온다. 피카소 그림에서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로 평가받는 요소들이 연구과정에서도 똑같이 요구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런 유 교수의 연구실을 둘러보니 두꺼운 책과 흰 가운 외에 ...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자, 자. 다들 조용히 해 주세요. 거기 플라스틱 의원님, 변신 좀 그만 하세요~. 가볍고 튼튼하고 어떤 모양이든 원하는 대로 다 변하실 수 있는 거 알거든요~? 코를 오똑하게 높여 주는 성형계의 1인자 실리콘 의원님, 압니다. IT 산업의 핵심인 반도체의 재료가 실리콘인 거요. 세라믹 의원님? 금속 ...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아폴로 박사’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조경철 박사님께서 지난 6일 돌아가셨어요. 조경철 박사님은 미국에서 천문학을 공부한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 최고연구원 등으로 활약 하셨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져 있다는 점을 안타까워해, 1968년 다시 우리나 ...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흠…, 여기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인가? 내 소개부터 하지. 나는 ‘펠리노’ 신. 땅 속을 뚫고 들어가 지구 반대편에서 나오는 남아메리카, 그 중에서도 페루라고 하는 나라에 살던 신이야. 그런데 사람인지 도깨비인지 모르겠다고? 흥, 잘 봐! 이 발톱과 부리부리한 눈, 날카로운 송곳니를! …그래도 ...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큰그림 보러가기“게놈해독 장비가 발전하는 속도는 반도체 칩의 처리속도가 18개월 만에 두 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가파릅니다. 최근 수년 동안은 해독 속도가 매년 10배씩 증가했으니까요.”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는 4월 27일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GET ...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과학동아 l2010년 06호
- 2000년 시작된 국군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이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지금까지 발굴한 유해는 5월 20일 현재 총 4761구. 이 중 북한군과 중공군 유해를 제외하고 확인된 국군과 유엔군의 유해는 4004구에 이른다. 전사자 유해발굴과 신원감식을 총괄하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유해발굴단) 박신한 단장( ...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과학동아 l2010년 06호
- ※ 편집자 주: ‘밥상에 오른 물고기’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봄을 기다리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주위에는 녹음이 가득하다. 무더운 여름이 성큼 다가와 있다. 땀을 많이 흘리고 기력이 약해지는 여름에는 보양식을 찾기 마 ...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33.9km의 세계 최장 방조제’, ‘환경파괴의 기념비적인 사례’. 아이러니하게도 두 수사는 모두 새만금 방조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새만금 방조제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9년 전인 1991년. 서해안의 동진강과 만경강의 하구를 막아 농경지로 쓸 땅을 간척할 목적이었다. 10년이면 강산도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