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모두 230만 원이 넘는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단 사실도 알게 됐어요. 그래서 직접 만들어 학교에서 열리는 과학 대회에 출품하기로 결심했죠.바네르제는 레고 중에서도 모터와 센서 등을 포함한 레고 마인드스톰을 이용하기로 했어요. 하지만 점자 프린터를 완성하는 일은 쉽진 않았지요. 점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열리는 통영시 산양초등학교 급식실에는 기자단을 비롯해 산양초등학교를 다니는 3학년 어린이 16명이 부모님과 함께 참여했지요.이번 행사는 아이와 부모가 함께 요리하며 평소 부족했던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에요. 요리가 서툰 아이와 능숙한 부모가 함께 요리를 하는 만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완벽하게 설명하는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선물을 받을 수 있어. 과학 영재들이 모인 학교인 만큼 이 정도 문제는 쉽게 해결할거라고 생각해. 주어진 시간은 10분! 미션을 해결하면 달콤한 평화가 너희들을 찾아갈 것이야! 오호호~!” 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 부글부글~, 펑~! 화산 폭발우리가 사는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질문은 수업 시간에 반 전체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알려준다. 고등학교에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를 구하고 고민한 다음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욕구가 상충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선택을 내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업, 배우자, 학교 등을 선택할 때도 개인의 의견이 역시 가장 중요하다. 반면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중요한 주체는 가족, 학교, 회사 등의 집단이다. 개인은 고유하고 개별적인 욕구를 가진 자유로운 존재이기보다 집단의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골라내 3D 프린터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이 3D프린터로 신발이나 옷, 자전거 등 주변의 학교의 어린이들이 필요한 물품들을 생산해 기부하기 시작했답니다.이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재클린 디스마스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이 프로젝트가 지구의 거대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첫 걸음이 될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한주연은 본인이 입학할 때와 달리 여학생이 많아진 학교 분위기에 적응할 수 없다며 학교를 떠나기로 한다. 그때 지우가 미닫이문을 열고 나가는 선배를 막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신경도 쓰지 않고 넘길 상황에서 한주연은 ‘뭐야. 힘의 합력을 0으로 만들었잖아’ 하고 말한다. 보통 사람이라면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제 성격 탓인지 이런 일을 하는 데 아무 거리낌이 없었어요.”조 대표는 4년 동안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우리의 교육 현장을 잘 안다. 여기서 몸소 체험하고 느낀 한계는 선생님의 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조 대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소프트웨어가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내는 신호를 받아 세부 보정을 한다.심호흡을 한번 크게 하고 HMD를 쓰자 어두컴컴한 학교 교실이 보였다. 문을 열고 나가자 교실 복도에 한 여학생이 말을 걸기 시작했다. “캄캄해서 아무것도 안 보여”, “여기 내가 있을 줄 몰랐지?”와 같이 일상적인 말을 하며, 때때로 기자의 의견을 묻기도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자가 방문한 7월 13일은 중학교 1학년 학생 25명이 참석했다. 최명호 불암중 교사는 “자유학기제의 일환으로 1년에 한번 직업체험을 한다”며 “20~30개 직업 중에 학생들이 (체험하길) 원하는 직업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