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d라이브러리
"
진짜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용어의 비과학적 사용 삼가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퍼지라고 주장, 소비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그러나 따지고 보면 그 어느 것을
진짜
퍼지적용 제품이라고 인정할 수 있을까? 퍼지이론 자체가 완성된 이론이 아니고 국내에서 퍼지연구를 시작한 지 불과 2, 3년 밖에 안됐는데 퍼지적용 가전제품이라고 내놓고 선전한다면 과대망상적인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면 이른바 '호랑이 새끼'를 스스로 키우는 셈. 과연 이러한 조건을 내건 우리에게
진짜
알맹이를 전수해줄지는 미지수다. 따라서 주는 입장도 중요하지만 받는 입장에서 두눈 똑바로 뜨고 제대로 받아야 하는 점이 핵심이다. 기술이전은 눈감고 입벌려 떡 하나 받아먹으면 그만인 것이 아니다.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크기는 보름달 만하다. M34는 지구에서 1천4백광년 떨어져 있다.그러나 페르세우스자리의
진짜
보물은 카시오페이아자리와의 경계에 있는 쌍둥이 별무리로 이중성단(double cluster)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것은 칼을 들고 있는 페르세우스의 손에 해당한다. 맨눈으로 볼 때 이 성단은 은하수가 엉겨있는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미치는 중력의 힘은 다른 쪽의 별의 인력에 의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어떤 별에 미치는
진짜
힘은 제로이며 별들은 운동하지 않는 채로 남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무한히 많은 양의 별에서 나오는 힘들을 한 별에 중첩해서 더할 때 별 하나는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만일 많은 별들이 서로 끌어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결혼기념비행을 한 뒤 곧바로 산화(?)하는 하루살이의 슬픈 이야기문제1 여름밤에 캠핑을 하거나, 집에 있을 때 우리를 가장 괴롭히는 곤충이 바로 모기다. 모기에 한번도 물려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기에 물리면(침에 쏘이면) 따끔하고 부어오르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모기의 침은 몇개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실제의 우주에서는 별들이 제각기 고유한 위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진짜
우주를 보게 될거야." 샘슨은 이렇게 맹세했다. 그는 자세한 성도(星圖)를 구해서 적도 상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는 모습과 똑같은 실제적인 별자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입력시켰다. 여기에는 1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공장의 책임자는 "이미 옛날 이야기"라고 한다. 예컨대 딸기향은 합성향료가 아니라
진짜
딸기를 섞거나 딸기즙을 넣어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바닐라 바나나향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제 안심하고 먹을만 하다고 생각된다.아이스크림에는 향료외에도 많은 식품 첨가제가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의 헤모글로빈중 헴분자를 하나씩 추출, 정제한 뒤 다시 이 헴분자들을 결합시켜
진짜
인간의 헤모글로빈처럼 산소를 전달하게 했다.그런가 하면 '흰 피'로 알려진 인공혈액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KIST 박영우박사팀(화공연구부)은 지난 89년 헤모글로빈과 동일한 산소운반기능을 가진 ... ...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식을 무척 많이 갖고 있는 로봇이 등장한 것이다. 그렇다고 사람을 닮은 로봇이
진짜
사람처럼 생물학 연구를 하고 있는 광경을 떠올리면 오산이다. 말이 로봇이지 겉보기에는 무슨 기계 같다.프랑스에서 최근 선보인 이 로봇의 특기는 유전자분석. 생물학의 완성이라고도 불리는 게놈프로젝트, 즉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깊이 연구해보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수학을 어렵다고 생각하고 싫어하는 이유는
진짜
로 수학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에 대해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학력고사에서 다른 과목은 한 문제에 1점씩인데 수학은 2점이고, 평소에도 수학은 20문제나 25문제밖에 안 나오니까 하나만 틀려도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