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두 가지가 있다. 침습형은 수술을 통해 뇌 특정 부위에 미세전극이나 반도체 칩을
직접
심는 방식으로, 해상도와 인식률이 높지만 수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주로 의족, 의수 등 의료용으로 많이 쓰인다. 반면 비침습형은 헬멧이나 헤드셋 같은 장비를 머리에 쓰고 표면의 전극으로 뇌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27.3일로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보인다. 그래서 달 뒷면은 지구와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통신중계위성을 별도로 쏘아 올려 이 문제를 해결했다. ‘오작교’라는 뜻의 ‘췌차오’ 위성은 달에서 약 6만5000km 떨어진 헤일로 궤도에 안착했다. 이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나가면 재입주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거주 문제는 사실 본인이
직접
살기 전까지는 잘 와 닿지 않는다. 처음에 기숙사가 1인실이라고 들었을 때는 가족 없이 혼자 산다는 점에서 자유롭고 사생활에 터치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마냥 좋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막상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2단계, 3단계의 시어핀스키 카펫을 그리고 색칠한다. 4
직접
만든 시어핀스키 카펫을 관찰해 시어핀스키 카펫(0단계~)에 필요한 블록의 개수를 구해 보자.남는 부분(노란색)과 블록이 없어지는 부분(파란색)을 서로 다른 색 블록으로 채우기 때문에 전체 개수에서 남는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Q 전기 회로를 만들려면 관련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따로 공부를 하나요?
직접
만들어보며 경험하는 것도 재밌지만, 기초적인 회로는 유튜브나 블로그에 올라온 공략을 보는 걸 추천해요. 기초 회로를 응용해 새로운 회로를 만드는 재미를 느껴보세요. Q 마인크래프트에서 가장 중요한 걸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온도가 각각 2~3℃ 정도 달랐는데, 노래하는 매미의 종류와 시기도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한 거예요. 그 순간 무더위를 싹 잊을 수 있었답니다!” 마지막으로 매벤져스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지사탐 활동을 적극 추천한다는 말을 잊지 않았어요. “지사탐 활동하면서 학교는 다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가 보기로 했어요. “그래서 지금 공주님과 왕자님은 어디에 계시죠? 사건 현장을
직접
봐야겠어요.” 첫 번째 난쟁이가 앞장서고 꿀록과 개코가 그 뒤를 따라 난쟁이의 집으로 들어갔어요. 난쟁이들은 집으로 들어서자마자 꿀록을 화장실 쪽으로 안내했지요. 그리곤 백설공주에게 말을 걸었답니다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가장 주목할 만한 과학자 10인으로 선정했다. 과학동아는 1월 14일 화제의 인물 웨이드와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Q 위키백과에 꾸준히 여성 과학자 전기를 쓰는 이유가 뭔가? 그게 공평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 여성과 과학에 대한 고정 관념을 막아야 여성이 과학에 이바지할 수 있다.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동물이다. 하지만 쥐가 내는 초음파(5만Hz)는 사람의 귀가 듣는 주파수(20~2만Hz)보다 높아
직접
들을 수 없다. 존 노이마이어 미국 워싱턴대 약리학과 교수팀은 쥐가 내는 발성을 분석하고 탐지하는 ‘딥찍찍(DeepSqueak)’이라는 딥러닝 기반 AI 프로그램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신경정신약리학저널’ 20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채우는 방법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에요. 물건이 몇 개밖에 안 된다면
직접
해 보거나 간단한 계산으로 답을 알아낼 수 있지만 물건이 많아질수록 쌓는 위치와 순서를 정하는 경우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해요. 지수적이라는 말은 기하급수적이라는 말과 같아요. 예를 들어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