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뜻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은 낮은 물질에 흠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커터는
유리
뿐만 아니라 쇠에도 금을 그을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날카로운 칼이나 송곳으로도 다이아몬드에는 흠집 하나 낼 수 없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연마·가공됐을까. 다이아몬드 결정은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중앙선에 서있는 사람이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칠판의 글씨가
유리
창으로 들어오는 빛에 반사돼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이때는 칠판에 더 강한 빛을 비추면 글씨가 잘 보인다.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한 착시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애니메이션이다.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낮다. 따라서 달릴 때 공기와의 마찰력이 적기 때문에 단거리를 달리는 선수들에게는
유리
했던 것이다. 그러나 1천5백미터 이상의 장거리 달리기에서는 상대적으로 선수들의 기록이 저조했다. 장거리를 달릴 때는 산소가 훨씬 많이 필요했기 때문이다.멕시코시티 올림픽 이후부터 스포츠 현장에서는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결합하면 비로소 난막을 구성하는 무코다당(분자량 500만) 1분자가 난막에서 절단되어
유리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난백에 함유된 알부민 많은 동식물의 조직에 존재하는 복합단백질이며, 아미노산 외에 당 · 인산 등도 포함한다분자량은 4만 6,000으로서 난단백질의 54%를 차지하며 물 · 묽은 염용액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가공 · 제조하는 공업 이 공업의 중심은 바이트 · 다이스 · 비트 · 톱 ·
유리
칼 등의 다이아몬드 공구를 생산하는 부문이다오늘날 정밀공업 · 전자공업 등과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얼음의 미세한 결정이 공중에 무수히 부유하는 현상 본체는 바늘 · 각기둥 · 평판 등의 모양을 한 미세한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허상(虛像)으로 재확대하는 장치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키며
유리
로 만든 렌즈를 사용하므로 광학현미경이라 한다빛을 받을 때 공존화합물에 할로겐이 치환되는 성질 플루오르를 제외한 할로겐은 모두 감광성이 있어서 이러한 광할로겐치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옛소련이 우주개발 분야에서 한창 경쟁을 벌이던 시기였다. 1961년 4월 12일 옛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1시간 29분만에 지구 상공을 일주함으로써 최초의 우주비행사가됐다.“ 지구는파랗다”고한 가가린의 말이 어린 그의 가슴에 인상깊게 남았고,‘ 나도 우주에 가서 지구를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샘플을 샌프란시스코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조 드리시 박사에게 보냈다. 드리시 박사는
유리
기판 위에 1천종의 바이러스 유전자 조각을 심은 바이러스칩을 개발했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될 때 이 칩과 반응시키면 유전자가 비슷한 곳에서는 결합반응이 일어나는데, 결합 여부는 함께 부착돼 있는 ... ...
지구를 지키는 원자력특공대 vs 산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공기의 부피가 팽창해서 온도가 충분히 떨어져야 해요.이기자 : (고개를 끄덕이며) 네.
유리
관 안의 수증기가 응결되도록 해야 하죠?크래시 : (놀란 듯) 아니, 이기자님이 그걸 어떻게 아세요? (기분 상한 듯 혼자 말로) 흥, 프루빗 교수의 조수인 나보다 더 똑똑할 리가 없을 텐데.이기자 : (크래시의 ... ...
저절로 움직이는 물과 건포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압력이 밖의 대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접시에 있던 물이 빨려 올라가는 것이다.한번
유리
컵 안으로 빨려 올라간 물은 그대로 놓아두면 몇시간이 지나도 다시 흘러나오지 않는다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