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분자 생물학적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생물의 형태형성도
오늘날
에는 세포수준, 또는 유전자 수준에서 해명이 진전되고 있다.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세포이며 동물과 식물, 그리고 미생물은 모두 세포의 집단체로 규정된다. 기본적으로 세포 자체가 가로 세로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유리섬유나 실리카섬유 복합재료를 탄소섬유 복합재 뒷면에 붙여 사용한다.탄소·탄소는
오늘날
개발된 재료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사용 가능한 초내열재료다. 이 재료는 매트릭스도 탄소로 구성된 탄소섬유로 제조방법은 탄소섬유에 탄소를 증착시키는 화학침착법과 고분자수지나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별도의 루트로 건너가 살게 돼(이를테면 고구려에서 직접 일본으로) 혼혈이 일어난 결과
오늘날
의 일본인이 됐다면, 한국 동남부 지역인과 일본인과는 직접적인 체질적 교섭이 없이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한편 한국인의 이마 가로폭이 좁은 특징을 가장 잘 지니고 있는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입자와 반입자가 충돌하고 소멸하는 상황에서 아주 근소한 양만큼의 입자가 살아남아
오늘날
의 물질세계의 근원을 이루었다는 설명이다. 천지개벽 후 1초가 지나면 입자와 반입자의 소멸반응은 끝나고 이 반응의 결과로 생긴 에너지가 지금 우리가 우주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는 3K 우주배경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형태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그 유전자끼리의 조합에 의해 기본이 제시되는 것이라면,
오늘날
우리가 보는 한국인의 서로 다르게 생긴 모습은 서로 다른 유전자와 그 조합에 의해 생겼다는 말이다. 현대 한국인의 얼굴 모습이 다르게 생긴 이유가 유전자와 그 조합에 의한 것이라면 그 유전자를 물려준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때 성질이 변하지 않고 분리되어 각각의 배우자에 하나씩 들어간다.* 멘델이 말한 요소란
오늘날
의 유전자를 가리키는 것이었다.멘델의 가설 2멘델은 단성 잡종의 유전에 적용한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양성잡종의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1. 둥글고 황색인 P의 유전자형을 AABB, 주름지고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않고 내수성이 강해야 한다. 약한 바람에도 날 수 있으려면 당연히 가벼울수록 좋다.
오늘날
에는 포장용 비닐같은 특수 합성지와 코팅처리된 나일론 섬유 등이 많이 이용된다.둘째 연살(대살). 연에 따라서는 연살이 없어도 바람주머니를 만들어 띄울 수 있는 연도 있지만 대부분 연들은 연살이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없었으나 대륙에서 여러 생물들이 옮겨 왔다. 이들은 이곳의 독특한 환경에 잘 적응해
오늘날
같은 특이한 모습을 관광객에게 보여주는 것이다.세계에서 갈라파고스처럼 자연보호가 잘 이루어지는 곳은 드물 것이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돌멩이 하나, 풀 한 포기를 마음대로 훼손하지 못한다.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북경원인을 대체했다는 이론이다. 호모 에렉투스가 다양한 지역에서 제각기
오늘날
의 인류로 진화되었다는 다지역진화론과 완전히 상반되는 가설이다. 윌슨은 화석 대신에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하여 이브이론을 내놓았기 때문에 옛DNA 연구에 의하여 그 타당성이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해를 구하여 자연의 운동을 이해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가
오늘날
의 과학기술문명이다.자연현상을 모델화한 모든 미분방정식은 거의 대다수가 비선형방정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지난 3백년간의 과학적 노력은 해석가능한 선형방정식에 입각하여 자연현상의 비선형성을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